(이미지포함파일은 첨부파일 참조)


*<제 1 강 > 포토샵과 그래픽 속성
1. 포토샵에 대하여
존 놀과 토마스 놀 형제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포토샵 프로그램은 90대 초 그래픽 전문회사인 Adobe사에 의해서 탄생하게 되었고 전 세계의 그래픽 애호가들에게 가장 사랑 받는 디지털 그래픽 편집 도구이다.

가. 포토샵 이미지 프로그램의 특징
 다양한 이미지 포맷 지원
 강력하고 고품질의 이미지 결과물 산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의 편리성 추구
 다양한 편집 도구 제공
 다양하고 독특한 필터의 제공으로 이미지 효과의 극대화
 웹 문서용 이미지의 최적화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폭 넓은 기술적 정보 취득의 용이성

나. 포토샵의 이용
 책, 잡지, 신문 등의 인쇄 정보 매체 이미지 제작
 광고지, 카다로그, 대형 간판 등의 광고 관련 이미지 제작
 인터넷 웹 문서 제작
 멀티미디어 CD롬 타이틀 제작
 웹 문서용 이미지의 최적화
 예술, 산업, 영화, 방송 관련 이미지 제작
 게임 등의 컴퓨터 그래픽 디자인
 교육용 학습 매체 이미지 제작

2. 해상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단위를 구성하는 픽셀의 수를 뜻한다.
가. 이미지 해상도
인쇄된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면 무수한 점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그림을 구성하고 있는 이러한 점들을 픽셀(화소)이라 하며 그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 단위가 된다.
이미지 해상도란 일정한 영역 속의 픽셀 수 ppi(pixel per inch)로 나타내는데  ppi가 높으면 그림은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이나 파일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픽셀
고해상도
저해상도

나. 모니터 해상도
모니터의 물리적 해상도는 제품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72~96dpi(dot per inch)정도 해상도를 갖게된다.
같은 크기의 그림 자료를 스캔할 경우 그림 해상도를 달리하면 모니터에는 해상도에 비례해서 크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다. 프린터 해상도
출력 장치가 제공하는 dpi(dot per inch)의 수를 의미한다. 보통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300~600dpi가 많이 쓰이고 잉크젯 칼라 프린터의 경우는 기술의 발달로 점점 해상도가 높아가고 있다.

라. 비트 해상도
각 픽셀이 표현 가능한 색상의 수를 의미하며 비트 단위로 표기한다. 즉 비트 해상도가 8비트이면 2 8 = 256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3. 색상 모드
가. RGB 모드
 각 픽셀은 빨강(R), 초록(G), 파랑(B)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R, G, B의 강도를 각각 256단계로 하면 한 점의 가질 수 있는 색깔의 수는       256×256×256이 된다. 즉, 각 점은 16,777,216개의 색 중에서 하나를 택할       수 있게 된다(true color : 24bit color).
 한 픽셀을 표현할 수 있는 색깔의 수가 많으면 파일의 크기가 증가한다.

<참고>
R,G,B를 각각 256(1바이트)단계로 표현하려면 1 픽셀 당 3바이트의 정보를 가져야 하고 파일의 크기는 가로 픽셀수×세로 픽셀수×3 바이트가 된다.
즉, 800 × 600 픽셀의 화면을 24비트 컬러로 표현할 때 파일의 크기는
800 × 600 × 3 = 1,440,000 Byte  3.5" 플로피디스크 1장 용량이다.

나. CMYK 모드
Cyan(파랑), Magenta(빨강), Yellow(노랑), blacK(검정) 모드는 그림을 프린트하는데 사용되며 4가지 인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4개의 색상 판(분판)은 각기 하나씩의 색상 잉크로 칠하면서 합성되어 온전한 이미지로 나타내게 된다.
<참고>
가산 혼합 : 원색을 혼합하였을 때 더욱 밝아진다.(RGB 모드)
감산 혼합 : 원색을 혼합하였을 때 더욱 어두워진다.(CMYK 모드)

4. 그림 파일 형식
가. 비트맵 이미지
(1) 특징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픽셀) 하나 하나의 집합으로 인식한다.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저장한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축소를 하였을 때 원본과의 이미지 손상이 크다.
(2) 종류
 BMP : 윈도우 95/98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그림 형식, 압축률이 낮다.
 JPG : 압축률이 매우 높아 작은 파일을 원할 때 유용하며 압축률을 높이면
         이미지의 질이 떨어진다. 인터넷 등에서도 널리 쓰이며, 연속적인
         톤을 가지고 있는이미지에 좋다.
 PSD : 이미지의 손상이 거의 없으며 층(layer) 개념을 지원하는 포토샵 고              유의 파일 형식이다. 각 층은 RGB 모드이다.
 GIF : 인덱스 컬러 모드를 사용하는 파일이며, 인터넷 등에서 많이 사             용하고 있으며 특히, Animation Gif나 Interaced Gif 등에 많이 쓰인다.
나. 벡터 이미지
(1) 특징
 선과 면에 대해서 색깔, 굵기, 곡률, 길이의 수학적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이미지를 변형시키는 것이 자유롭고 모서리가 매끄럽게 처리된다.
 주로 라인 아트 작업에 이용된다.
<참고>
벡터 이미지 파일이 이루는 하나 하나의 도형을 개체라 한다. 보통 이들 개체는 꼭지점의 좌표, 외곽선의 색상, 굵기, 곡률, 면의 색상, 무늬와 같은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그 개체의 속성이라 한다.
(2) 종류
 WMF : 윈도우 95/98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형식.
 CDR :  코렐드로우에서 지원하는 형식
 EPS : 아도브 일러스트레이터 등에서 지원하는 형식
<참고>
97나 파워포인트에서의 도형 그리기 기능에서 벡터 드로우잉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저작도구용 프로그램들은 제한적이기는 하나 벡터 드로우잉 기능을 조금씩 가지고 있다. ‘코렐드로우’, ‘아도브 일루스트레이터’가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이며 97과 함께 제공되는 ‘한그림’은 코렐드로우의 기능을 축소한 것이다.

5. 포토샵 6.0 화면 구성
가.② 옵션 바
 ④ 팔레트
③ 툴 박스
① 메뉴 표시줄
 ⑥ 상태 표시줄
 ⑤ 이미지 편집창
 구성 요소
① 메뉴 표시줄 : 명령을 항목별로 묶어 놓은 곳이며 풀다운 메뉴 방식으로 원       하는 항목을 마우스로 선택하면 된다.
② 옵션 바 : 이전 버전의 옵션 팔레트가 옵션 바 형태로 바뀌었으며 툴 박스       에서 툴을 선택하면 설정할 세부 사항들이 나타난다.
③ 툴 박스 : 각종 편집 도구들을 모아 놓은 곳이다.
④ 팔레트 : 도구의 값들을 설정하거나 편집을 보조하는 곳이다.
⑤ 이미지 편집창 : 새 파일을 만들거나 불러온 이미지를 편집하는 곳이다.
⑥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곳이다.

나. 메뉴 요약
① File : 가장 기본적인 메뉴로 포토샵 전반과 관련한 관리 기능
② Edit : 이미지 편집과 관련된 기능
③ Image : 이미지의 색상과 형태를 변형시키는 기능
④ Layer : 레이어와 관련된 기능
⑤ Select : 선택 영역과 관련된 기능
⑥ Filter : 이미지에 독특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필터 기능
⑦ View : 포토샵 작업 환경에 대한 기능
⑧ Window : 포토샵의 이미지 창과 팔레트, 툴 등을 관리
⑨ Help : 포토샵 사용에 따른 도움말 기능


*<제 2 강 > 선택영역 정하기(I)
1. 선택영역이란
이미지의 일부분을 축소 확대하거나 특정 부분만을 복사, 삭제, 가공하고자 할 때 정하는 테두리를 뜻한다. 포토샵에서 선택영역을 정하는 작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2. 사각형, 원형, 세로선/가로선 선택 툴
가. 임의대로 선택 영역 정하기
 옵션 바에서 Style>Normal 선택한다.
 학습 이미지를 불러온다. File>Open <sample01.jpg>
 도구 상자에서 사각, 원형, 세로선, 가로선 툴을 클릭한다.
☞ 실습
① 임의의 크기로 선택 영역을 정한다.
② 정사각형과 정원으로 선택 영역을 정한다.(Shift키를 함께 누름)
③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선택 영역을 정한다.(Alt키를 함께 누름)
④ 선택 영역을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마우스 커서를 선택 영역 안에 넣고 드래그)
⑤ 선택 영역을 만들면서 위치를 조정한다.(위치 조정시에만 스페이스 바를 누른다.)
⑥ 가로/세로 선을 선택한다.(마우스 클릭만으로 선택되고 두께는 1픽셀이다.)

나. 선택 영역의 추가 및 빼기
 옵션 바에서 추가(Add to selection) 모드를 선택한다.
 옵션 바에서 빼기(Substract from selection) 모드를 선택한다.
 옵션 바에서 공통 영역(Intersect with selection) 모드를 선택한다.
☞ 실습
① 두 개 이상의 선택 영역을 추가한다.(추가 모드를 선택하거나 Shift키를 동시에 누른다.)
② 겹쳐진 선택 영역을 뺀다.(빼기 모드를 선택하거나 Alt키를 동시에 누른다.)
③ 겹쳐진 선택 영역만 남긴다.(공통 영역 모드를 선택하거나 Shift+Alt키를 동시에 누른다.)

다. 선택 영역 저장하기
 메뉴 표시줄에서 Select>Save selection 항목을 선택한다.
 Save selection 대화 상자에서 Name란에 적당한 이름을 기입한다.
 현 이미지 문서에서는 언제든지 불러와 재 사용할 수 있다.
  (메뉴 표시줄에서 Select>Load selection>저장한 이름 선택)

3. 올가미 및 마술봉 툴
가. 올가미 툴을 이용하여 임의대로 선택 영역 정하기
 도구상자에서 올가미 툴을 선택한다.
 도구상자에서 다각형 올가미 툴을 선택하여 선택한다.
 도구상자에서 자석 올가미 툴을 선택한다.
☞ 실습
① 올가미 툴로 자연스럽게 연필로 그리 듯 선택 영역을 정한다.(마우스 드래그 기법)
※ 대략적으로 빠르게 선택 영역을 정할 때 주로 사용한다.
② 다각형 올가미 툴을 이용하여 선택 영역을 정한다.(마우스 클릭할 때마다 연결점 생성)
※ 직선 형태로 선택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쉽고 정밀하게 선택 영역을 정할 수 있다.
③ 자석 올가미 툴을 이용하여 이미지 모서리 부분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Feather : 이미지의 가장 자리를 부드럽게 표현
Anti-aliased : 경계 부분의 거친 픽셀 사이에 중간색을 채워     매끄럽게 처리
Width : 경계를 찾아내는 범위를 결정
Edag Contrast : 경계의 색상 대비를 결정
Frequency : 색상의 경계를 찾아 생기는 선택 점(앵커 포인트)                               의 수를 조절

※ 옵션 바에서 자석 올가미 툴에 대한 각 옵션 값의 설정에 따라 좀더 정교한 선택 영역을 정할 수 있다.

나. 마술봉 툴을 이용하여 선택 영역 정하기
 도구상자에서 마술봉 툴을 선택한다.
☞ 실습
① 선택하고자 하는 색상 부분에 마술봉 툴을 위치하고 클릭한다.(클릭한 색상과 같은 범위는      모두 선택된다.)
② 옵션 바에서 Tolerance 값(0-255)을 변경하면서 선택하여 본다.
   (설정 값이 클수록 선택 범위가 넓어진다.)


*<제 3 강 > 선택영역 정하기(II)
1. 올가미 및 마술봉 툴
가. 올가미 툴을 이용하여 임의대로 선택 영역 정하기
 도구상자에서 올가미 툴을 선택한다.
 도구상자에서 다각형 올가미 툴을 선택하여 선택한다.
 도구상자에서 자석 올가미 툴을 선택한다.
☞ 실습
① 올가미 툴로 자연스럽게 연필로 그리 듯 선택 영역을 정한다.(마우스 드래그 기법)
※ 대략적으로 빠르게 선택 영역을 정할 때 주로 사용한다.
 ② 다각형 올가미 툴을 이용하여 선택 영역을 정한다.(마우스 클릭할 때마다 연결점 생성)
※ 직선 형태로 선택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쉽고 정밀하게 선택 영역을 정할 수 있다.
③ 자석 올가미 툴을 이용하여 이미지 모서리 부분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Feather : 이미지의 가장 자리를 부드럽게 표현
Anti-aliased : 경계 부분의 거친 픽셀 사이에 중간색을 채워     매끄럽게 처리
Width : 경계를 찾아내는 범위를 결정
Edag Contrast : 경계의 색상 대비를 결정
Frequency : 색상의 경계를 찾아 생기는 선택 점(앵커 포인트)의 수를 조절

※ 옵션 바에서 자석 올가미 툴에 대한 각 옵션 값의 설정에 따라 좀더 정교한 선택 영역을 정할 수 있다.

나. 마술봉 툴을 이용하여 선택 영역 정하기
 도구상자에서 마술봉 툴을 선택한다.
☞ 실습
① 선택하고자 하는 색상 부분에 마술봉 툴을 위치하고 클릭한다.(클릭한 색상과 같은 범위는      모두 선택된다.)
② 옵션 바에서 Tolerance 값(0-255)을 변경하면서 선택하여 본다.
   (설정 값이 클수록 선택 범위가 넓어진다.)

2. 펜 툴 활용하기
펜 툴은 패스(path)라고 불리는 직선이나 곡선을 만들며 이는 드로잉 도구나 선택 도구로써 사용할 수 있다.
즉 좀더 정밀한 선택을 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다양한 기법이 있으나 이 단원에서는 기초적인 펜 툴 사용법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한 부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학습하고자 한다.
가. 패스 그리기
 직선 패스 그리기
 폐다각형 그리기
 곡선 패스 그리기
☞ 실습
① 펜 툴(Pen Tool)을 선택한 후 마우스를 클릭할 때마다 앵커 포인터가 생성되면서 직선이 만     들어 진다.
② 처음 시작한 앵커 포인터에 마지막 점을 놓으면 페다각형이 된다.
   (이 때 펜 툴 커서 바로 아래 o 표시가 나타난다.)
③ 포인터 전환 툴(Convert Point Tool)을 이용하여 직선 곡선 패스로 만든다.
곡선패스→

방향점

방향선

선택앵커점


나. 패스 조정하기
 패스 이동하고 조정하기
 패스를 선택 영역으로 바꾸기
☞ 실습
① 도구 상자에서 패스 선택 툴(Path Component Selection Tool)로 패스를 이동한다.
   (마우스 드래그)
② 도구 상자에서 직접 선택 툴(Direct Selection Tool)로 앵커 포인터 위치를 조정한다.
③ Paths 팔레트 메뉴에서 Make Selection을 선택한다.
   (또는 팔레트 하단에 위치한 Load Path as Selection 단추를 누른다.)

2. 퀵 마스크 활용하기
선택할 이미지 부분이 까다롭거나 독특한 선택 영역을 정할 때 페인팅 툴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아주 유용한 기능이다.
가. 임의대로 선택 영역 정하기
 도구상자에서 퀵 마스크 모드(Edit Quick Mask Mode)를 선택한다.
Masked Areas를 옵션 : 붉게 색칠된 영역은 선택 영역에서 제외
Selected Areas를 옵션 : 붉게 색칠된 영역이 선택 영역으로 됨
 도구상자에서 페인트 브러시 툴을 선택하여 선택 영역을 칠한다.
 도구상자에서 표준 모드(Edit in standard Mode)를 선택한다.
☞ 실습
① 퀵 마스크 모드를 선택한 후 페인트 브러시로 선택할 영역을 칠한다.
   (브러시 타입에 따라 선택 영역의 범위가 달라진다.)
② 선택 영역을 칠한 다음 표준 모드 단추를 누른다.

나. 기존의 선택 영역에 퀵마스크를 이용하여 고치기
 기존의 선택 영역을 불러오거나 새로 만든다.
 도구상자에서 퀵 마스크 모드(Edit Quick Mask Mode)를 선택한다.
 기존의 선택 영역에 수정할 부분을 페인트 브러시로 수정한다.
☞ 실습
① 기존에 만든 선택 영역이나 선택 툴을 이용하여 새로 선택 영역을 만든다.
② 퀵 마스크 모드를 선택한 후 페인트 브러시로 수정할 부분에 덧칠한다.
③ 선택 영역에 덧칠이 끝난 다음 표준 모드 단추를 누른다.

*<제 4 강 > 이미지 편집(I)
1. 이미지 형태 변형하기
포토샵은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일보다 기존의 이미지를 재 가공하는 데 주로 사용하는 이미지 편집도구이다. 즉, 이미지의 형태를 변형시킨다든지 색상을 보정하고 다른 이미지와의 합성을 통해 재창조하게 된다.
가. 이미지 크기 조정하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Image 메뉴에서 Image Size를 선택한다.
Constrain Proportion를 체크한다.
  Constrain Proportion은 이미지를 확대 축소할 때 기존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한다.
변형될 크기 값을 가로 또는 세로 설정 란에 입력한다.
변형될 크기 값을 가로 또는 세로 설정 란에 %비율로 입력한다.

※ 비트 맵 특성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형시켰을 때 원본과의 이미지 손상은 피할 수 없으나 포     토샵은 그 손상을 최소화 해준다.

나. 이미지 방향 바꾸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Image 메뉴에서 Rotate Canvas를 선택한다.
180°회전
90°CW,CCW : 90°시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Arbitrary : 임의의 각도로 회전
Flip Horizontal, Vertical : 수평 수직 방향으로 바뀜.

다. 이미지 선택 영역만 남기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사각 선택 영역을 정한다.
③ Image 메뉴에서 Crop을 선택한다.
④ 도구 상자에서 Crop 툴을 선택하여 영역을 조정한 후 실행한다.

라. 선택 영역의 이미지 변형하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Scale : 선택 이미지 크기 조절
Rotate : 선택 이미지 회전
Skew : 평형사변형으로 기울기
Distort : 이미지를 원하는 만큼 비틀기

2. 이미지 복사하기
가. 이미지 선택 영역 복사하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복사할 이미지 부분을 선택영역으로 정한다.
③ Edit 메뉴에서 Copy 명령을 선택한다.
④ Edit 메뉴에서 Paste 명령을 선택한다.
⑤ 도구 상자에서 이동 툴을 이용하여 옆으로 옮겨 놓는다.
나. 외곽선이 부드러운 이미지 복사하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옵션 바에서 Feather 값을 9 Pixel 입력.
③ 도구 상자에서 원형 선택 툴을 선택.
④ 옵션 바에서 Style을 Fixed Size 선택.
⑤ 가로 세로 각각 100,100 픽셀 입력.
⑥ 도구 상자에서 이동 툴을 선택
⑦ Alt키를 누르면서 아래로 이동(복사된다.)

다. 새 편집창에 이미지 복사하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New 명령을 선택한다.
② 새 편집창 설정 대화 상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Name : 이미지 복사하기
Width : 500 Pixel
Height : 400 Pixel
해상도 : 72ppi
모드 : RGB 칼라
바탕색 : 흰색
③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④ 선택 영역을 정한 뒤 Edit 메뉴에서 Copy 명령을 선택한다.
⑤ 새 편집창을 선택한다.
⑥ Edit 메뉴에서 Paste 명령을 선택한다.

3. 여러 폼맷으로 이미지 저장하기
가. 포토샵 고유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Save as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PSD로 선택한다.
※ 포토샵 고유 포맷은 포토삽에서 작업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된다.

나. 다른 파일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Save as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JEPG, TIFF, BMP, PCX....등으로 선택한다.

다. 웹 문서용 최적화된 파일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for web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jpg, gif, png 포맷 중에서 선택하여 최적화한 파일로 저장한다.


*<제 5 강 > 이미지 편집(II)
1. 이미지 복사하기
가. 이미지 선택 영역 복사하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복사할 이미지 부분을 선택영역으로 정한다.
③ Edit 메뉴에서 Copy 명령을 선택한다.
④ Edit 메뉴에서 Paste 명령을 선택한다.
⑤ 도구 상자에서 이동 툴을 이용하여 옆으로 옮겨 놓는다.

나. 외곽선이 부드러운 이미지 복사하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옵션 바에서 Feather 값을 9 Pixel 입력.
③ 도구 상자에서 원형 선택 툴을 선택.
④ 옵션 바에서 Style을 Fixed Size 선택.
⑤ 가로 세로 각각 100,100 픽셀 입력.
⑥ 도구 상자에서 이동 툴을 선택
⑦ Alt키를 누르면서 아래로 이동(복사된다.)

다. 새 편집 창에 복사한 이미지 붙이기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New 명령을 선택한다.

② 새 편집창 설정 대화 상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Name : 이미지 복사하기
Width : 500 Pixel
Height : 400 Pixel
해상도 : 72ppi
모드 : RGB 칼라
바탕색 : 흰색
③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④ 선택 영역을 정한 뒤 Edit 메뉴에서 Copy 명령을 선택한다.
⑤ 새 편집창을 선택한다.
⑥ Edit 메뉴에서 Paste 명령을 선택한다.


2. 이미지 색상 보정하기
스캔 받은 이미지나 기존의 이미지 색상을 개선하기 위함이나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색상 보정을 하게된다.
가. 컬러 커브를 이용한 색상 보정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Image>Adjust>Curves 선택한다.
③ 상단, 중간, 하단 부분의 감마선을 조정한다.
④ y축으로 올라갈수록 밝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Auto 버튼 : 가장 어두운 부분 : 검정, 가장 밝은 부분 : 흰색


나. 칼라 발란스를 이용한 색상 보정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Image>Adjust>Color Balance 선택한다.
③ 톤에 따라 색상 혼합을 설정한다.
다. 듀오톤으로 보정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mple 이미지를 불러온다.
② Image>Mode>Grayscale 선택한다.
③ Image>Mode>Duotone을 선택한다.
④ 대화 상자에서 Type을 Duotone
⑤ 색상 두 가지를 선택 (검정, 노랑)


*<제 6 강 > 레이어 편집
1. 레이어 만들기
레이어란 흰색 도화지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투명한 용지라 생각하면 쉽겠다. 즉 각각의 레이어에 그림을 그려서 겹쳐 올려놓으면 밑에 있는 레이어의 그림이 합하여져 하나의 그림처럼 보이게 된다.
레이어를 사용하므로써 각 이미지마다 독립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쉽게 편집을 할 수 있으며, 각 레이어와의 여러 가지 혼합방식을 통해 아주 독특한 새로운 이미지로 만들 수 있다.   
가. 레이어와 이미지 생성
☞ 실습
① 먼저 편집창을 만든다.
② 레이어1을 만든다.
레이어 팔레트 메뉴에서 New Layer를 선택한다.
레이어 팔레트에서 Create a New Layer 버튼을 선택한다.
③ 레이어1에 마우스를 위치하고 팝업 메뉴에서 Layer Properties를 선택한다.
   Name : ‘사각형’이라 기입한다.
④ 편집 창에서 사각 선택 툴을 이용하여 임의의 사각형을 그리고 빨간 색상을 채운다.
⑤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레이어 2개를 더 만든다.
각각 이름을 원형, 오각형이라 이름으로 구분한다.
각각의 레이어 층을 선택한 후 편집 창에서 ④와 같이 이미지를 만든다.

나. 레이어에서 타이틀 쓰기
☞ 실습
① 도구 상자에서 타입 툴을 선택한다.
② 옵션 바에서 타입 툴을 옵션을 선택한다.
문자 레이어 생성 또는 문자 선택 영역 모드로 선택을 한다.
문자의 글꼴, 크기, 특성 등을 설정한다
문자의 정렬 방식, warped 생성 등을 설정한다.

다. 레이어에서 이미지 이동하기
☞ 실습
① 먼저 옮기고자 하는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도구 상자에서 이동 툴을 선택한다.
③ 이미지 위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하고 드래그 한다.
 

라. 레이어 순서 바꾸기
☞ 실습
① 먼저 옮기고자 하는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마우스를 클릭한 후 순서를 바꾸고자 하는 레이어 위에 갖다 놓는다.

마. 레이어 삭제 및 복사하기
☞ 실습
① 먼저 삭제 또는 복사하고자 하는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마우스를 클릭한 후 드래그하면서 휴지통/레이어 만들기 버튼에 갖다 놓는다.


2. 레이어에서 이미지 혼합
가. 불투명도 조절하여 혼합하기
☞ 실습
① 먼저 레이어 2개를 만든다.
② 각각의 레이어에 이미지를 복사한다.
③ 윗층에 있는 레이어의 불투명도를 조절한다.


나. 레이어 각각의 혼합 모드를 적용하기
☞ 실습
① 먼저 레이어 2개를 만든다.
② 레이어 혼합 모드의 콤보 박스를 연다.
③ 원하는 혼합 모드를 선택한다.
Multply : 이미지의 흰색 부분은 겹쳐진 상태에서 투명한 부위의 역할을 한다.
Screen : 서로 밝은 부분이 새로운 레이어의 영역으로 선택한다.
Color Doge : 하얀색은 그대로 놔두고 나머지 색들을 흰색과 합성한다.


3. 각 레이어에서 이미지 효과주기
가. 레이어 스타일 적용하기 
☞ 실습
① 먼저 스타일을 적용시킬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메뉴 표시줄에서 Layer>Layer Style를 선택한다.
Drop shadow : 이미지에 그림자를 만든다.
Bevel and Emboss : 이미지를 돌출되게 한다.

나. 레이어 이미지에 필터 적용하기 
☞ 실습
① 필터를 적용시킬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메뉴 표시줄에서 Filter를 선택한다.
Bluer : 이미지의 초점을 흐린다.
Distort : 이미지를 왜곡시킨다.
Texture : 이미지의 표면에 질감을 준다.


4. 이미지 저장하기
가. 포토샵 고유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Save as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PSD로 선택한다.
※ 포토샵 고유 포맷은 포토삽에서 작업한 모든 정보(레이어, 선택 영역 등..)가 포함되어 저장  된다.

나. 다른 파일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Save as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JEPG, TIFF, BMP, PCX....등으로 선택한다.
※ 포토삽에서 작업한 모든 정보(레이어, 선택 영역 등..)가 포함되지 않고 모든 레이어가 합쳐진 한 장의 이미지로 저장된다.

다. 웹 문서용 최적화된 파일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for web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jpg, gif, png 포맷 중에서 최적화된 포맷을 선택하면 된다.


*<제 7 강 > 이미지 혼합과 저장
1. 레이어에서 이미지 혼합
고급스럽고 돋보이는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서로 다른 이미지의 혼합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가. 불투명도 조절하여 혼합하기
☞ 실습
① 먼저 레이어 2개를 만든다.
② 각각의 레이어에 이미지를 복사한다.
③ 윗층에 있는 레이어의 불투명도를 조절한다.


나. 레이어 각각의 혼합 모드를 적용하기
☞ 실습
① 먼저 레이어 2개를 만든다.
② 레이어 혼합 모드의 콤보 박스를 연다.
③ 원하는 혼합 모드를 선택한다.
Normal : 색상이 정상적으로 나타나며 하층의 레이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Multply : 이미지의 흰색 부분은 겹쳐진 상태에서 투명한 부위의 역할을 한다.
Overlay : Multply모드와 Screen모드의 합성한 효과가 나타난다.
Darken : 합성되는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의 명도에 따라 어두운 색이 우선함.
Lighten : Darken모드와 정반대의 합성 모드이다.
Screen : 서로 밝은 부분이 새로운 레이어의 영역으로 선택한다.
Color Doge : 하얀색은 그대로 놔두고 나머지 색들을 흰색과 합성한다.
Color Burn : 어두운 색은 그대로 두고 나머지 색들을 검은색으로 섞어 합성한다.
Soft Light : 이미지의 음영이 점차 사라지는 부분을 더욱 밝게 한다.
Hard Light : 이미지에 강한 하이라이트 빛을 투시한 효과가 나타난다.
Difference : 대체로 명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진다.
Exclusion : Difference 모드와 비슷하나 좀더 부드럽게 적용된다.
Hue : 원본이미지의 채도와 명도를 보존한 채 합성될 이미지와 색상만을 바꾼다.
Saturation : 합성될 이미지의 채도만을 취하여 원본 이미지를 바꾸어줄 때 사용한다.
Color : 이미지의 채도와 명도는 그대로 보존한 채 색조만 취하여 변경한다.
Luminosity : Color 모드의 이미지를 반전시킨 효과를 나타낸다.


다. 레이어 마스크 적용하기
☞ 실습
① 먼저 레이어 2개를 만든다.
② 각각의 레이어에 이미지를 위치시킨다.
③ 메뉴에서 Image > Add Layer Mask > Reveal All을 선택한다.
④ 도구 상자에서 그라디언트 툴을 선택한다.
⑤ 마스크 영역 위의 적당한 위치에서 마우스로 드래그한다.
※ 그라디언트 툴 : 두가지 색상 사이의 단계를 은은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해준다.
2. 각 레이어에서 이미지 효과주기
가. 레이어 스타일 적용하기 
☞ 실습
① 먼저 스타일을 적용시킬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메뉴 표시줄에서 Layer>Layer Style를 선택한다.
Drop shadow : 이미지에 그림자를 만든다.
Bevel and Emboss : 이미지를 돌출되게 한다.

나. 레이어 이미지에 필터 적용하기 
☞ 실습
① 필터를 적용시킬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메뉴 표시줄에서 Filter를 선택한다.
Bluer : 이미지의 초점을 흐린다.
Distort : 이미지를 왜곡시킨다.
Texture : 이미지의 표면에 질감을 준다.


3. 이미지 저장하기
가. 포토샵 고유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Save as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PSD로 선택한다.
※ 포토샵 고유 포맷은 포토삽에서 작업한 모든 정보(레이어, 선택 영역 등..)가 포함되어 저장  된다.

나. 다른 파일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Save as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JEPG, TIFF, BMP, PCX....등으로 선택한다.
※ 포토삽에서 작업한 모든 정보(레이어, 선택 영역 등..)가 포함되지 않고 모든 레이어가 합쳐진 한 장의 이미지로 저장된다.

다. 웹 문서용 최적화된 파일 포맷으로 저장
☞ 실습
① 먼저 File 메뉴에서  Save for web 명령을 선택한다.
② Format을 jpg, gif, png 포맷 중에서 최적화된 포맷을 선택하면 된다.


*<제 8 강 > 표지 디자인(I)
1. 그래픽 디자인에 대하여
디자인은 의사소통이 전제된 조형작업이기 때문에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며 제작 기획 단계별로 점검하고 디자인의 전개 방향을 설계해 나가야 한다.
 주제와 스타일 : 나타내고자하는 주제와 스타일 적합 여부를 살펴본다.
 템플릿 화면 기획 : 표지, 최상위 메뉴 화면, 서브메뉴 등의 화면 부분별로       기획하고 살펴본다.
 레이아웃 : 시각 전달을 주목적으로 조형미를 고려하면서 소재를 효과적으       로 구성 및 배열을 한다.
   즉, 미적인 조형구성, 가독성 추구, 주목 효과의 달성 전체적인 통일과 조        화, 기능에 대한 이해 및 사용 편의성 증진 등을 고려해야 된다. 

2. 화면 구성 이미지 제작
가. 멀티미디어 CD타이틀 표지 디자인 레이아웃

소타이틀





이미지
1

이미지
2

이미지
3

이미지
3

기관명(제작자 및 기관표기)
레이아웃을 설정할 때에는 구성 이미지의 크기 및 여백, 시각적, 조형적인 면을 고려하면서 정확하게 설계를 해야한다.
구체적인 디자인 설계 과정은 강의 목적 상 생략하고 대략적인 레이아웃을 설정하여 실제적인 이미지 제작 과정과 복사, 배치, 도구의 사용 등에 그 역점을 두고자 한다.


나. 바탕화면 이미지 만들기
☞ 실습
① 바탕화면에 사용할 이미지 두 장을 선정하여 일정한 크기로 제작한다.(500×400 픽셀)
② 이미지 색상을 보정한다.
   (메뉴 표시줄에서 Image > Adjust > Curves)
③ 새 편집창에서 두 장의 이미지를 각각의 레이어에 복사한다.
④ 각 레이어에 이름을 지정한다.(바탕1, 바탕2)
⑤ 바탕2의 레이어 이미지 표면에 질감을 주기 위하여 필터를 적용한다.
   (메뉴 표시줄 Filter>Texture>Texturizer>Sandstone)
⑥ 설정 대화 상자에서 적당한 값으로 조정한다.
⑦ 레이어 마스크 채널을 이용하여 하층의 바탕1 이미지가 은은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메뉴 표시줄 Layer> Add Layer Mask)
⑧ 도구 상자에서 그라디언트 툴을 선택한다.
⑨ 전경색과 배경색을 검정과 흰색으로 설정한다.
 레이어 판넬에서 마스크 선택을 확인한 후 드래그한다.(적당히 될 때까지)
 파일을 저장한다.(이름 : 표지, 포맷 : PSD)

다. 구성 소품 이미지 제작하기
☞ 실습
① 구성 소품에 이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여 불러온다.
② 이미지 색상을 조정한다.
③ 이미지 크기를 조정한다.
④ 사각 선택 툴을 이용하여 이미지 선택 영역을 정한다.
   (옵션바에서 style : Fixed Size, 가로 세로 각각 100,100 픽셀 입력)
⑥ 파일 저장(psd 포맷으로 저장)

라. 펜 툴을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만 남기기
☞ 실습
① 구성 소품에 이용할 이미지를 선택하여 불러온다.
② 도구 상자에서 펜 툴을 선택한다.
③ 나비 이미지의 외각선을 따라서 패스를 만든다.
   (패스 조정을 통해 매끄럽게 만든다.)
④ 패스를 선택 영역으로 바꾼다.
⑤ 선택 영역을 반전시킨다.
⑥ 반전된 선택 영역은 흰색으로 채운다.
⑦ 이미지 색상이나 크기를 조정한다.
⑧ 파일을 저장한다.(psd 포맷)


*<제 9 강 > 표지 디자인(II)
1. 각 구성 이미지 배열하기
가. 각 레이어에 이미지 복사하기
☞ 실습
① 파일을 불러온다.(표지.psd)
② 구성 이미지가 들어갈 각각의 레이어를 생성한다.
③ 각 레이어에 이름을 지정한다.(구성이미지1, 구성이미지2, 구성이미지3, 구성이미지4, 나비)
⑤ 도구 상자에서 이동 툴을 선택한 후 각 이미지를 계획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동할 이미지가 있는 레이어를 선택한 후 작업)

나. 레이어 스타일 적용하기
☞ 실습
① 이미지에 그림자 효과를 줄 레이어를 선택한다.
② 레이어 스타일을 적용한다.
   (Layer > Layer Style > Drop shadow)
③ 설정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각 부분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한다.


2. 타이틀 쓰기
가. 주 타이틀
☞ 실습
① 타입 툴을 선택한다.
② 옵션 바에서 타입 선택 영역 모드를 선택한다.
③ 폰트의 크기, 색상, 종류 등을 선택한다.
④ 도구 상자에서 전경색을 흰색으로 설정한다.
⑤ 타이틀 선택 영역을 전경색으로 채운다.
   ( Alt + Delete 키를 누른다.)
⑥ 타이틀에 그림자를 만들기 위해서 그림자 레이어를 만든다.
⑦ 그림자 레이어를 선택한 후 모서리를 부드럽게 처리하기 위해 선택 영역을 피더를 적용시킨     다.  (메뉴 표시줄에서 Selet > Feather > 7정도로 설정)
⑧ 도구 상자의 이동 툴을 이용하여 그림자 위치를 조정한다.

나. 보조 타이틀
☞ 실습
① 타입 툴을 선택한다.
② 옵션 바에서 일반 타입을 선택한다.
③ 폰트의 크기, 색상, 종류 등을 선택한다.
④ 옵션 바에서 타이틀에 웨이브를 주기 위한 Warped Text를 설정한다.
⑤ 설정 대화 상자에서 Arc 항목을 선택한 후 휨 정도를 슬라이더 바로 조정한다.
⑥ 이동 툴을 이용하여 타이틀의 위치를 조정한다.


3. 하단 기관명 쓰기
가. 반투명의 하단 바 만들기
☞ 실습
① 도구 상자에서 사각 선택 틀을 선택한다.
② 옵션 바에서 사각 선택 툴의 옵션 값을 설정한다.
   (Style : Fixed, 500, 80 픽셀)
③ 도구 상자에서 전경색을 파란색 계통으로 설정한다.
⑤ 하단의 이미지가 은은하게 보이도록 레이어의 불투명도를 조절한다.(60%)


나. 기관명 쓰기
☞ 실습
① 타입 툴을 선택한다.
② 옵션 바에서 일반 타입을 선택한다.
③ 폰트의 크기, 색상, 종류 등을 선택한다.
④ 이동 툴을 이용하여 타이틀의 위치를 조정한다.


출처: http://www.jedcast.net/


Posted by 개구리발톱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533)
★☆이벤트정보☆★ (82)
☆ 뉴스&이슈 ☆ (389)
☆ 지식/노하우 ☆ (750)
☆ 영상 ☆ (140)
☆ 주절주절 ☆ (143)
☆ 『 보관 』☆ (20)

최근에 올라온 글

믹시추적버튼-이 블로그의 인기글을 실시간 추적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