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인스톨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삭제하다 보면 제대로 삭제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탐색기를 통해 직접 지우게 되는데, 보통 파일은 지워져도 '프로그램 추가/삭제'에 등록된 이 름은 지워지지 않는다. 이렇듯 삭제되지 않는 프로그램 이름은 레지스트리나 Tweak UI를 사 용하여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곳에서 '내 컴퓨 터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Uninstall'로 이동 한다. 여기에서 삭제되지 않은 프로그램의 폴더를 지우면 프로그램 추가/삭제 목록에서도 제거된다.
여러 가지 유용한 유틸리티가 포함되어 있는 패키지이다. 각 PC 통신망의 공개자료실에서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최신 버전은 IE4.0을 지원한다. Tweak UI를 설치하면 제어판에 Tweak UI 아이콘이 등록되 는데 이를 더블 클릭하여 실행한다. 'Add/Remove' 탭을 선택해 프로그램 목록 중에 이름만 등록된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Remove 버튼을 누른다. |
마우스 왼쪽버튼 세번 누르면 신기한 일이
인터넷게시판의 내용글을 퍼갈 때 마우스 드래그를 합니다
그런데 내용글의 용량이 많을 때 마우스로 드래그하기가 무척 어렵죠
쉽게하는 방법은
마우스 왼쪽 버튼 세번 클릭 하는 겁니다
두번 클릭했을 때 한단어가 선택되고 세번 클릭하면 안에 있는 모든 내용이 선택이 됩니다.
+++++++++++++++++++++++++++++++++++++++++++++++++++++++++++++++++++++++++++++++++++++++++++++++++++++
다시 재생되는 등 여러 가지 접속 에러가 자주 생기는데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퍼를
늘리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C 좌측 하단에 보시면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엔터테인먼트]
- [Windows media player] 를 여신 후에 상단 메뉴에 보면 [도움말]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정보] 를 선택합니다.
- 미디어 플레이어를 수행하고 [도구] - [옵션] 메뉴를 누른다.
- [옵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성능] 탭을 고른다.
- [내 연결 속도] 옵션을 고르고 목록 버튼을 눌러 [T1(1.5Mbps)]를 선택한다.
- [네트워크 버퍼링] 항목에서는 버퍼를 10초로 지정한다.
- 다시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UDP] 항목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 [프록시 설정] 항목에서 HTTP를 마우스로 두 번 누른다.
(또는 HTTP를 선택하고 구성버튼을 누른다.)
- [프로토콜 구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프록시 서버 이용 안함] 옵션을 선택한다.
-변경된 옵션상태
하드디스크 소음 줄이고,오래 쓰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지만! 일반 유저들은 윈도우즈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사용하시는 Disk Defragmenter FAT File System Module (DFRGFAT.EXE) : FAT16-32용 사용자의 파일 시스템에 따라 둘중에 한가지가 자동실행 됩니다. 가끔 아무작업도 하지 않는데! 하드 디스크가 열심이 `드륵뜨륵` 소음의 `주범` 이자! 하드 노화의 `선구자` 입니다. 어차피 한달에 1-2번 `조각모음` 해준다면 필요성이 적어 집니다.
|
++++++++++++++++++++++++++++++++++++++++++++++++++++++++++++++++++++++
<동영상 upload 에 필요한 준비 작업>
1.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를 내 컴퓨터에 설치한다.
(참고: 현재 WINDO2000,XP 기준으로 설명 합니다..>
shift 키를 누르면서 위 주소를 클릭하시면 새로운 창이 나타나는데 우측을 보시면 [기술 및 도구]라는
작은 네모칸에서 window media encoder를 클릭하셔서 다운로드 받으신 후 내 컴퓨터에 설치하세요
2. 인터넷에 무료 계정 중 하나를 신청한다.
저같은 경우에는 dreamwiz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므로 dreamwiz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dreamwiz에 계정이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없으시면 무료회원가입을 하십시요.
3. FTP(File Transfer Protocol) 프로그램을 내 컴퓨터에설치한다.
http://<A HREF=" target=_blank>
제가 아는 FTP 프로그램은 알 FTP인데 괜찮은 것 같습니다.
shift키를 누르면서 위 주소를 클릭하시면 새로운 창이 나타나는데 우측을 보시면 [현재 PC에 설치된
알툴즈]라는 작은 창이 있는데 이곳에서 알FTP 3.4 최신버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내 컴퓨터에
설치 하세요.
4. 컴퓨터에 설치한 알FTP 프로그램을 설정해 준다.
처음으로 알FTP를 실행시키시면 [접속할 사이트를 선택하세요]라는 작은 창이 [알FTP v.3.4]창과
함께 뜹니다. 이 때 [접속할 사이트를 선택하세요]라는 창의 좌측을 보시면 여러가지 폴더가 있는데
그 중에서 [커뮤니티] 폴더를 선택하시면 [드림위즈]가 있는데 [드림위즈]를 클릭하세요.
클릭하시면 우측에 몇 가지 써 넣어야 하는 것이 있는데, 그 중에서
[생성할 사이트 이름] [FTP 주소]는 그대로 두시고, [ID]와[비밀번호]를
본인의 것으로 써 넣고 [비밀번호 저장]에 클릭하시면 끝!!!
시험 삼아 [확인]을 눌러보세요. 잠깐 후면 접속이 되실 겁니다.
알FTP의 상단은 드림위즈에 있는 내폴더, 하단은 내 컴퓨터의 폴더들이
보일 것입니다. 되셨으면 그냥 그대로 두셔도 됩니다.
<본격적으로 블로그에 동영상 올리기>
1. 디카로 찍은 동영상 화일 변환하기
자동적으로 디카로 부터 downloading이 완료되면 *.mpeg 파일이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디카로 찍은 동영상은 화일명이 mpg, mpeg 등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인터넷 상에서 스트리밍이 안되는 화일이니 스트리밍이 되는 화일도 바꿔줘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스트리밍이란 쉽게 말해 화면을 열었을 때 바로 동영상이 실행되도록 한다는
것인데 저는 편의상 [실시간 상영] 정도로 바꿔서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동영상 화일 변환은 먼저 설치한 window media encoder 9을 이용해서 쉽게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먼저 인코더를 실행 시키면 [새 세션]이라는 작은 창이 뜨는데 닫으시고 [속성]을 클릭하시는데,
클릭하시면 [세션 속성]이라는 창이 조그맣게 인코더 창 안에 뜹니다.
[세션 속성]에서 입력 및 확인 할 사항은 [원본][출력][압축] 3가지 입니다.
순서대로 먼저 [원본]에서 원본위치를 [화일]로 지정해 주신후 [찾아보기]를 통해서 올리고 싶으신
동영상 화일(가능한 20M 미만)을 선택합니다. 20M 미만을 선택하라고 하시는 이유는 연습하면서
파일변환의 시간을 적게 할 수 있고, 변환시 2M 미만이 되므로 드림위즈의 총 사용 용량 5M를 안넘길
있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은 [출력]으로 가셔서 선택되어 있는 [인코더에서 풀]을 해제하시고 [파일로 보관]을 선택
하신 후 파일이름을 입력하세요. (가능한 파일 이름은 영어나 숫자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압축]에 가셔서 [비트 전송률]에서 원하시는데로 적당한
것을 선택해 주는데, 비트전송률/프레임수/출력크기가 작을 수록
화일 크기가 작게 인코딩 됩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282kbps나
148kbps 정도 선택합니다.
여기까지 하신 후 [적용]을 누르시면 모래시계가 나타나는데 모래시계가 없어지고 난 뒤에 창 위쪽에
있는 [인코딩 시작]을 누르시면 인코딩(파일 변환)이 시작됩니다. 잠깐 후 화일 변환이 끝났다는 창이
나오면 확인 누르시면 끝!!!
2. 화일 변환 시킨 동영상 알FTP를 이용해서 드림위즈에 올리기
앞에서 설명드린 알 FTP를 실행시켜 드림위즈에 접속합니다. 접속한 후 하단의 내 컴퓨터 상에서
화일 변환시킨 동영상 화일(*.wmv)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드림위즈로 화일이 업로드 됩니다.
화일명을 잘 기억해 두세요...
3. 동영상 링크 시키기
이제 블로그를 열고 로그인 후 글쓰기로 들어오세요.
TEXT 작성에서는 본문 입력 창 바로위의 [HTML+줄바꾸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하세요.
그런 후 여러분이 쓰고 싶은 글을 쓰신 후 적당한 위치에서
를 써주시면 동영상 링크 끄~읕!!!
이 때 [ ] 대신 < >로 바꿔야만 하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저는 < >를 쓰면 링크가 될까봐 사용하지 않을 것이니 참고하시구요.
이 embed 명령어에서 "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정확히 써야 하는데,
본인의 드림위즈 ID는 잘 아실테고, 화일명은 movie.wmv라면 .wmv 까지 정확하게 써 주셔야합니다.
혹은 본문 입력 창 밑의 멀티미디어 링크에 동영상 선택하시고 위의 " "안의
것을 주소 입력란에 넣어 주시면 됩니다.
<참고 사항>
1. 드림위즈는 5M 만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몇 번 밖에 이용할 수 없으니, 일단 동영상 올리기
에 성공하셨다면 무료 계정을 주는 다른 사이트를 찾으셔서 더 많은 동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하세요.
2. 드림위즈와 다른 사이트에서 링크 시키는 방법이 조금씩 틀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드림위즈에
서는 URL 주소에 [http://my-cgi.dreamwiz.com/본인ID/화일명]으로 쓰지만, 컴내꺼 같은 경우에
는 [http://본인ID.com.ne.kr/화일명]을 사용한답니다. 따라서 각각의 사이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다른 사이트를 이용하신다면 그런 부분을 먼저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
윈도의 묵묵부답! '무응답 시간' 단축하기 윈도 XP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동작을 멈추면 응답이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데, 이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조절하면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프로그램 설치와 동시에 바탕 화면에 생기는 단축 아이콘은 마우스 클릭만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도구지만 윈도 실행 속도를 떨어뜨리는 주범이 되기도 한다.
++++++++++++++++++++++++++++++++++++++++++++++++++++++++++++++++++++++++++++++++++++++++++++++++++++++ |
서버용 운영체제를 바탕으로 만든 윈도우즈XP는 여러 서비스를 갖고 있다. 서비스는 윈도우즈XP가 하는 일을 각자 나눠서 도맡는 프로그램이다. 인쇄 명령이 떨어지면 인쇄 작업을 담당하는 서비스가 나서고, 새로운 PC부품을 꽂으면 플러그앤플레이를 맡은 서비스가 어떤 부품이라서 어떤 드라이버를 찾아 깔아야 하는지 나서는 것이다. 윈도우즈XP가 한꺼번에 여러 일을 척척 해낼 수 있는 것은 서비스 덕이다. 하지만 서버용 운영체제 태생 때문인지 개인 이용자가 쓰는 PC와 알맞지 않은 서비스가 있다. 서버관련 네트워크 서비스든가, 인터넷 웹서비스 따위가 그렇다. PC에서 쓸 일이 없는 서비스는 윈도우즈가 부팅할 때 함께 떠서 리소스를 차지한다.
윈도우즈 발목을 잡고 있지 않은가. 필요 없는 서비스를 꺼서 윈도우즈가 씽씽 달리게 해보자.
윈도우즈 관리자 콘솔(MMC)를 띄워 서비스 항목을 열자
서비스 항목을 설정값으로 자동과 수동과 사용안함 세 가지를 가지고 있다. 자동은 부팅할 때 윈도우즈가 알아서 드라이버 파일을 읽어 들이고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은 운영체제는 준비하고 있지만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때 돌리는 것이다.
단계 1 제어판 → 관리도구 아이콘을 누른다. 단계 2 관리도구 창에서 서비스 아이콘을 누른다.
단계 3 윈도우즈 관리자 콘솔이 떴다. 서비스 항목을 누르면 값을 바꾸는 항목이 뜬다.
쓰지 않는 서비스를 꺼서 윈도우즈를 쾌적하게 만들어 보자
시작 유형을 자동이나 수동, 사용안함으로 바꾸면 된다. 이용자에 따라 값을 바꾸면 에러가 뜨거나 먹통이 되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니 중요한 작업을 하는 PC에서는 서비스 변경 작업을 하지 않기를 권장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
+++++++++++++++++++++++++++++++++++++++++++++++++++++++++++++++++++++++++++++++++++++++++++++++++++++++++
컴퓨터를 오류없이 잘 쓰는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