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인스톨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삭제하다 보면 제대로 삭제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대부분의 사용자는 삭제하려는 프로그램을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가 아닌

탐색기를 통해 직접 지우게 되는데,

보통 파일은 지워져도 '프로그램 추가/삭제'에 등록된 이 름은 지워지지 않는다.

이렇듯 삭제되지 않는 프로그램 이름은 레지스트리나 Tweak UI를 사 용하여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에서 삭제하는 방법


시작 → 실행에서 regedit를 입력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나타난다.

이곳에서 '내 컴퓨 터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Uninstall'로 이동 한다.

여기에서 삭제되지 않은 프로그램의 폴더를 지우면 프로그램 추가/삭제 목록에서도 제거된다.




●Tweak UI를 사용하는 방법


Tweak UI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작한 공개 프로그램으로

여러 가지 유용한 유틸리티가 포함되어 있는 패키지이다.

각 PC 통신망의 공개자료실에서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최신 버전은 IE4.0을 지원한다.

Tweak UI를 설치하면 제어판에 Tweak UI 아이콘이 등록되 는데 이를 더블 클릭하여 실행한다.

'Add/Remove' 탭을 선택해 프로그램 목록 중에 이름만 등록된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Remove 버튼을 누른다.

 
 
++++++++++++++++++++++++++++++++++++++++++++++++++++++++++++++++++++++++++++++++++++++++++++++++++++++++

마우스 왼쪽버튼 세번 누르면 신기한 일이


인터넷게시판의 내용글을 퍼갈 때 마우스 드래그를 합니다


그런데 내용글의 용량이 많을 때 마우스로 드래그하기가 무척 어렵죠


쉽게하는 방법은

마우스 왼쪽 버튼 세번 클릭 하는 겁니다


두번 클릭했을 때 한단어가 선택되고 세번 클릭하면 안에 있는 모든 내용이 선택이 됩니다.

 

+++++++++++++++++++++++++++++++++++++++++++++++++++++++++++++++++++++++++++++++++++++++++++++++++++++




용량이 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강의를 듣다 보면 연결이 끊기거나 잠깐 멈췄다가
다시 재생되는 등 여러 가지 접속 에러가 자주 생기는데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퍼를
늘리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C 좌측 하단에 보시면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엔터테인먼트]
- [Windows media player] 를 여신 후에 상단 메뉴에 보면 [도움말]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정보] 를 선택합니다.

- 미디어 플레이어를 수행하고 [도구] - [옵션] 메뉴를 누른다.
- [옵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성능] 탭을 고른다.
- [내 연결 속도] 옵션을 고르고 목록 버튼을 눌러 [T1(1.5Mbps)]를 선택한다.
- [네트워크 버퍼링] 항목에서는 버퍼를 10초로 지정한다.



- 다시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UDP] 항목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 [프록시 설정] 항목에서 HTTP를 마우스로 두 번 누른다.
(또는 HTTP를 선택하고 구성버튼을 누른다.)



- [프로토콜 구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프록시 서버 이용 안함] 옵션을 선택한다.



-변경된 옵션상태
 
 
 
+++++++++++++++++++++++++++++++++++++++++++++++++++++++++++++++++++++++++++++++++++++++++++++++++++++++++
 
 


 
하드디스크 소음 잠재우기



하드디스크 소음 줄이고,오래 쓰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지만!
가장 간단 하고 효율적인이 방법 한가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일반 유저들은 윈도우즈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사용하시는
`디스크 조각모음` (DFRG.MSC)만 아실 것 입니다.
하지만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2가지 더 있습니다.

Disk Defragmenter FAT File System Module (DFRGFAT.EXE) : FAT16-32용
Disk Defragmenter NTFS File System Module (DFRGNTFS.EXE) : NTFS용

사용자의 파일 시스템에 따라 둘중에 한가지가 자동실행 됩니다.
이 프로그램 들은 부팅시(부트영역)에 이용되는
시스템 파일 들을 최적화(Boot Optimize) 합니다.

가끔 아무작업도 하지 않는데! 하드 디스크가 열심이 `드륵뜨륵`
읽는 소리가 들리는 것은 대부분 `이놈` 때문이죠!

소음의 `주범` 이자! 하드 노화의 `선구자` 입니다.
물론 알아서 `부트`영역 최적화 해 주면 편하고 좋죠!
근데 효율성이 아주 떨어집니다.

어차피 한달에 1-2번 `조각모음` 해준다면 필요성이 적어 집니다.
그럼 이 프로그램만 조용히 잠재우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시작->실행->REGEDIT->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 Dfrg->BootOptimizeFunction


로 찾자 갑니다. 문자열 Enable에
데이터 값 Y -> N 로 값만 바꾸어 주시면 됩니다.
로그오프나 리부팅후 적용 됩니다.
그러면 조용한밤 당신을 괴롭히는 `귀신`은 사라 집니다.


++++++++++++++++++++++++++++++++++++++++++++++++++++++++++++++++++++++
 
 
 
 
<동영상 upload 에 필요한 준비 작업>
 
1.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를 내 컴퓨터에 설치한다.
      (참고: 현재 WINDO2000,XP 기준으로 설명 합니다..>
 
 
shift 키를 누르면서 위 주소를 클릭하시면 새로운 창이 나타나는데 우측을 보시면 [기술 및 도구]라는
작은 네모칸에서 window media encoder를 클릭하셔서 다운로드 받으신 후 내 컴퓨터에 설치하세요
 
2. 인터넷에 무료 계정 중 하나를 신청한다.
 
저같은 경우에는 dreamwiz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므로 dreamwiz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dreamwiz에 계정이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없으시면 무료회원가입을 하십시요.
그 다음 본인의 ID와 PASSWORD를 잘 기억해 두세요 http://www.dreamwiz.com/
 
3. FTP(File Transfer Protocol) 프로그램을 내 컴퓨터에설치한다.
   
http://<A HREF=" target=_blank>
제가 아는 FTP 프로그램은 알 FTP인데 괜찮은 것 같습니다.
shift키를 누르면서 위 주소를 클릭하시면 새로운 창이 나타나는데 우측을 보시면 [현재 PC에 설치된
알툴즈]라는 작은 창이 있는데 이곳에서 알FTP 3.4 최신버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내 컴퓨터에
설치 하세요.
 
4. 컴퓨터에 설치한 알FTP 프로그램을 설정해 준다.
 
처음으로 알FTP를 실행시키시면 [접속할 사이트를 선택하세요]라는 작은 창이 [알FTP v.3.4]창과
함께 뜹니다. 이 때 [접속할 사이트를 선택하세요]라는 창의 좌측을 보시면 여러가지 폴더가 있는데
그 중에서 [커뮤니티] 폴더를 선택하시면 [드림위즈]가 있는데 [드림위즈]를 클릭하세요.
클릭하시면 우측에 몇 가지 써 넣어야 하는 것이 있는데, 그 중에서
[생성할 사이트 이름] [FTP 주소]는 그대로 두시고, [ID]와[비밀번호]를
본인의 것으로 써 넣고 [비밀번호 저장]에 클릭하시면 끝!!!
시험 삼아 [확인]을 눌러보세요. 잠깐 후면 접속이 되실 겁니다.
알FTP의 상단은 드림위즈에 있는 내폴더, 하단은 내 컴퓨터의 폴더들이
보일 것입니다. 되셨으면 그냥 그대로 두셔도 됩니다.
 
 
<본격적으로 블로그에 동영상 올리기>
 
1. 디카로 찍은 동영상 화일 변환하기
 
자동적으로 디카로 부터 downloading이 완료되면 *.mpeg 파일이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디카로 찍은 동영상은 화일명이 mpg, mpeg 등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인터넷 상에서 스트리밍이 안되는 화일이니 스트리밍이 되는 화일도 바꿔줘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스트리밍이란 쉽게 말해 화면을 열었을 때 바로 동영상이 실행되도록 한다는
것인데 저는 편의상 [실시간 상영] 정도로 바꿔서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동영상 화일 변환은 먼저 설치한 window media encoder 9을 이용해서 쉽게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먼저 인코더를 실행 시키면 [새 세션]이라는 작은 창이 뜨는데 닫으시고 [속성]을 클릭하시는데,
클릭하시면 [세션 속성]이라는 창이 조그맣게 인코더 창 안에 뜹니다.
[세션 속성]에서 입력 및 확인 할 사항은 [원본][출력][압축] 3가지 입니다.
순서대로 먼저 [원본]에서 원본위치를 [화일]로 지정해 주신후 [찾아보기]를 통해서 올리고 싶으신
동영상 화일(가능한 20M 미만)을 선택합니다. 20M 미만을 선택하라고 하시는 이유는 연습하면서
파일변환의 시간을 적게 할 수 있고, 변환시 2M 미만이 되므로 드림위즈의 총 사용 용량 5M를 안넘길
있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은 [출력]으로 가셔서 선택되어 있는 [인코더에서 풀]을 해제하시고 [파일로 보관]을 선택
하신 후 파일이름을 입력하세요. (가능한 파일 이름은 영어나 숫자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압축]에 가셔서 [비트 전송률]에서 원하시는데로 적당한
것을 선택해 주는데, 비트전송률/프레임수/출력크기가 작을 수록
화일 크기가 작게 인코딩 됩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282kbps나
148kbps 정도 선택합니다.
 
여기까지 하신 후 [적용]을 누르시면 모래시계가 나타나는데 모래시계가 없어지고 난 뒤에 창 위쪽에
있는 [인코딩 시작]을 누르시면 인코딩(파일 변환)이 시작됩니다. 잠깐 후 화일 변환이 끝났다는 창이
나오면 확인 누르시면 끝!!!
 
2. 화일 변환 시킨 동영상 알FTP를 이용해서 드림위즈에 올리기
앞에서 설명드린 알 FTP를 실행시켜 드림위즈에 접속합니다. 접속한 후 하단의 내 컴퓨터 상에서
화일 변환시킨 동영상 화일(*.wmv)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드림위즈로 화일이 업로드 됩니다.
화일명을 잘 기억해 두세요...
 
3. 동영상 링크 시키기
이제 블로그를 열고 로그인 후 글쓰기로 들어오세요.
TEXT 작성에서는 본문 입력 창 바로위의 [HTML+줄바꾸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하세요.
그런 후 여러분이 쓰고 싶은 글을 쓰신 후 적당한 위치에서
를 써주시면 동영상 링크 끄~읕!!!
이 때 [ ] 대신 < >로 바꿔야만 하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저는 < >를 쓰면 링크가 될까봐 사용하지 않을 것이니 참고하시구요.
 
이 embed 명령어에서 "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정확히 써야 하는데,
본인의 드림위즈 ID는 잘 아실테고, 화일명은 movie.wmv라면 .wmv 까지 정확하게 써 주셔야합니다.
 
혹은 본문 입력 창 밑의 멀티미디어 링크에 동영상 선택하시고 위의 " "안의
것을 주소 입력란에 넣어 주시면 됩니다.
 
<참고 사항>
 
1. 드림위즈는 5M 만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몇 번 밖에 이용할 수 없으니, 일단 동영상 올리기
에 성공하셨다면 무료 계정을 주는 다른 사이트를 찾으셔서 더 많은 동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하세요.
저 같은 경우는 http://www.com.ne.kr/도 사용합니다.
2. 드림위즈와 다른 사이트에서 링크 시키는 방법이 조금씩 틀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드림위즈에
서는 URL 주소에 [http://my-cgi.dreamwiz.com/본인ID/화일명]으로 쓰지만, 컴내꺼 같은 경우에
[http://본인ID.com.ne.kr/화일명]을 사용한답니다. 따라서 각각의 사이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다른 사이트를 이용하신다면 그런 부분을 먼저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윈도의 묵묵부답! '무응답 시간' 단축하기

윈도 XP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동작을 멈추면 응답이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데, 이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조절하면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시작→실행’을 클릭하고 나타나는 ‘실행’ 창에 ‘regedit’라고 입력한 다음 키를 누르면 윈도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키로 이동한 다음 오른쪽 창에서 ‘HungAppTimeout’ 항목을 더블클릭한다.

이 항목값을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5000(5초)에서 1000(1초)으로 바꾸면 대기 시간이 단축된다.



 2  
활성화된 윈도 창만 골라골라~ 캡처하기
윈도 사용자는 대부분 화면을 캡처할 때 키를 이용한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전체 화면이 캡처되기 때문에 나중에 필요한 부분만 잘라내는 또 한 번의 공정(?)이 필요하다.

이런 번거로움을 피하려면
키를 눌러 활성화된 윈도 창만 캡처한다. 이후 키로 캡처한 이미지를 그림판에 붙인 다음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은 전체 화면을 캡처할 때와 똑같다.




 ▲   단축키를 눌러 활성 창만 캡처  ▼   파일을 종류별로 구분해 표시하는 기능 죽이기



 3  폴더 창 실행 속도 끌어올리기
윈도 XP에는 파일을 종류별로 구분해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것이 화면 표시 속도를 떨어뜨리는 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저사양 PC 사용자라면 과감하게 이 기능을 삭제하자. ‘시작→설정→제어판’으로 들어간 다음 ‘폴더 옵션→보기→고급 설정’에서 ‘폴더 및 바탕 화면 항목에 팝업 설명 표시’와 ‘압축된 파일과 폴더를 다른 색으로 표시’, ‘독립된 프로세스로 폴더 창 실행’ 옵션을 해제하면 폴더 창 실행 속도가 빨라진다.


 4  실행 메뉴에서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익히기 
윈도의 설정을 바꾸기 위해 일일이 마우스를 클릭할 필요 없이 윈도 키를 누르고 실행 메뉴에 해당 명령어만 입력하면 곧바로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행 메뉴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컴퓨터 관리        compmgmt.msc
장치 관리자        devmgmt.msc 
디스크 관리        diskmgmt.msc  
디스크 조각모음  dfrg.msc       
이벤트 뷰어         eventvwr.msc  
공유 폴더            fsmgmt.msc          
서비스                services.msc
   



 5  단축 아이콘이 점유하는 메모리 용량 되찾기

프로그램 설치와 동시에 바탕 화면에 생기는 단축 아이콘은 마우스 클릭만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도구지만 윈도 실행 속도를 떨어뜨리는 주범이 되기도 한다.

윈도를 부팅할 때마다 아이콘을 메모리로 옮기는 탓에 부팅 속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메모리 용량도 많이 잡아먹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축 아이콘은 반드시 필요한 것만 놔두고 다 삭제하는 것이 좋다.

다만 내 컴퓨터, 휴지통, 네트워크 환경 등의 아이콘 등은 삭제가 불가능한데,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창을 띄우고 ‘바탕 화면’ 탭의 ‘바탕 화면 사용자 지정’ 버튼을 누르자. 곧장 뜨는 ‘바탕 화면 항목’ 창에서 이들 바탕 화면 아이콘을 감출 수 있다.


 6  
실행 속도 향상시키는 단축키 자주 사용하기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단축키로 지정해 두면 실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바탕 화면에 있는 MS워드의 단축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다. 이어서 ‘등록 정보’를 선택한 뒤 ‘바로 가는 키’ 항목을 키)+[임의의 키](외우기 쉬운 키)>로 지정하면 된다. 여기서는 임의의 키를 키로 설정했다. 끝으로 ‘적용’ 버튼을 누르면 이제부터는 키를 눌러 워드프로세서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외워두면 유용한 윈도 단축키

윈도 키 + [E]  탐색기 열기
윈도 키 + [R]  실행 창 열기
윈도 키 + [F]  찾기 창을 열기.
윈도 키 + [M]  모든 작업 창 최소화
   


 

 7  단축 아이콘 대신 빠른 수행 영역 공략하기

윈도 XP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빠른 실행 아이콘을 이용하면 단축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편하다. 인터넷 탐색기와 아웃룩 익스프레스가 기본으로 자리 잡고 있는 빠른 수행 영역에 원하는 단축 아이콘을 드래그하기만 하면 된다.





 8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 수시로 비워주기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가 손상되거나 지나치게 크기가 클 경우 이미지 파일 소스 보기가 실행되지 않거나 이미지가 BMP로만 저장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렇게 되면 인터넷 속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폴더를 비워줘야 한다.



 


 1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도구→인터넷 옵션’ 탭의 ‘임시 인터넷 파일’ 항목에서 ‘파일 삭제’ 버튼을 누른다. 나타나는 창에서 ‘오프라인 항목을 모두 삭제’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2 그런 다음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의 용량을 적당히 조절한다.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환경이라면 10MB 정도가 적당하다.







 3  마지막으로 ‘도구→인터넷 옵션’의 ‘고급’ 탭에 있는 ‘보안’ 항목에서 ‘브라우저를 닫을 때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 비우기’ 옵션을 선택하면 탐색기를 닫을 때마다 자동으로 파일이 삭제된다.







 



 

 

 9  쓸데 없이 중복되어 설치된 프로그램 정리하기

비슷한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여러 개 설치하면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다. ‘시작→설정→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로 이동한 다음 ‘프로그램 추가/제거’ 등록 정보에서 ‘변경’, ‘제거’ 버튼을 이용해 불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사용 기간이 끝난 셰어웨어 등을 지운다.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삭제 후 재부팅을 해야 지워지는 경우도 있다.

 

 

 



 10  주기적으로 ‘TEMP’ 폴더 속 파일들 싹싹 청소하기

윈도가 설치된 폴더 아래에 있는 ‘TEMP’ 폴더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 생기는 임시 파일이 쌓이는 곳이다. 따라서 제대로 정리가 되어 있지 않거나 일정 공간 이상이 차 있으면 프로그램 실행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 ‘TEMP’ 폴더를 비우려면 폴더 내에 있는 모든 파일을 선택한 다음 삭제하면 된다. @Buzz

 

 

 

 

 

 

 

 


 Bonus  [Shift] 키의 7가지 숨은 재주 

 1  윈도가 부팅될 때 [Shift] 키를 누르면 ‘시작’ 메뉴에 등록된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아 부팅 속도가 향상된다.

 2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삭제할 파일을 휴지통으로 드래그하면 휴지통이 자동으로 비워진다.

 3  여러  개의 창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Shift] 키를 누르고 창 닫기 버튼을 누르면 상위 폴더의 창까지 함께 닫힌다.

 4  [Shift] 키를 누르고 파일을 드래그해서 다른 폴더로 옮기면 선택한 파일들을 한꺼번에 옮길 수 있다.

 5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블록으로 지정하고 싶으면 [Shift] 키를 누르고 선택하면 된다.

 6  하위 폴더의 내용만 따로 탐색기로 불러들이고 싶을 때에는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폴더를 더블클릭한다.

 7  자동 실행 CD나 음악 CD를 CD-ROM 드라이브에 넣으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나 음악이 실행되는데, [Shift] 키를 누르고 CD를 삽입하면 자동 실행이 되지 않는다.

++++++++++++++++++++++++++++++++++++++++++++++++++++++++++++++++++++++++++++++++++++++++++++++++++++++





윈도우XP 속도 200% 빠르게 하기


서버용 운영체제를 바탕으로 만든 윈도우즈XP는 여러 서비스를 갖고 있다.

서비스는 윈도우즈XP가 하는 일을 각자 나눠서 도맡는 프로그램이다.

인쇄 명령이 떨어지면 인쇄 작업을 담당하는 서비스가 나서고, 새로운 PC부품을 꽂으면

플러그앤플레이를 맡은 서비스가 어떤 부품이라서 어떤 드라이버를 찾아 깔아야 하는지

나서는 것이다.

윈도우즈XP가 한꺼번에 여러 일을 척척 해낼 수 있는 것은 서비스 덕이다.

하지만 서버용 운영체제 태생 때문인지 개인 이용자가 쓰는 PC와 알맞지 않은 서비스가 있다. 서버관련 네트워크 서비스든가, 인터넷 웹서비스 따위가 그렇다.

PC에서 쓸 일이 없는 서비스는 윈도우즈가 부팅할 때 함께 떠서 리소스를 차지한다.


윈도우즈 몸무게를 줄여 온 힘을 내게 부어도 부족할 판인데 쓰지 않을 프로그램이

윈도우즈 발목을 잡고 있지 않은가.

필요 없는 서비스를 꺼서 윈도우즈가 씽씽 달리게 해보자.

 

윈도우즈 관리자 콘솔(MMC)를 띄워 서비스 항목을 열자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아이콘을 누르면 윈도우즈 관리자 콘솔이 뜬다.


서비스 항목을 설정값으로 자동과 수동과 사용안함 세 가지를 가지고 있다.

자동은 부팅할 때 윈도우즈가 알아서 드라이버 파일을 읽어 들이고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은 운영체제는 준비하고 있지만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때

돌리는 것이다.


사용안함은 운영체제가 준비해 뒀지만 쓰지 않고 있는 서비스다.


단계 1 제어판 → 관리도구 아이콘을 누른다.




단계 2 관리도구 창에서 서비스 아이콘을 누른다.


 

단계 3 윈도우즈 관리자 콘솔이 떴다. 서비스 항목을 누르면 값을 바꾸는 항목이 뜬다.

 

쓰지 않는 서비스를 꺼서 윈도우즈를 쾌적하게 만들어 보자



서비스 항목을 켜거나 끌 때 서비스 이름을 클릭해서 속성 창을 띄운 다음

시작 유형을 자동이나 수동, 사용안함으로 바꾸면 된다.

이용자에 따라 값을 바꾸면 에러가 뜨거나 먹통이 되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니

중요한 작업을 하는 PC에서는 서비스 변경 작업을 하지 않기를 권장한다.




1 Alerter
유닉스 시스템에서 관리자가 경고 메시지를 보낼 때 쓰는 것처럼 이용자와 컴퓨터에 관리용 경고 메시지를 보낸다. PC에서는 내 PC와 연결된 다른 사람이나 컴퓨터에 경고 메시지를 보낼 일이 없으니까 수동으로 된 초기값을 사용안함으로 바꾸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2 Application Layer Gateway Service
인터넷 연결 공유나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쓸 때 필요하다. 더욱이 윈도우즈 XP가 기본으로 지닌 방화벽 서비스를 쓸 때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설정돼 있어야 한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3 Application Management
프로그램을 깔거나 삭제하는 일을 한다. 이 서비스를 멈추게 하면 응용프로그램을 깔거나 삭제할 수 없다. 초기값 수동을 그대로 둬야 하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수동

4 Automatic Update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업데이트 사이트에서 업데이트 파일을 내려받고 까는 일을 한다. 서비스를 켜지 않아도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면 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5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
쓰지 않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활용하는 서비스다. 하지만 보통은 쓰지 않는 서비스다. 웹호스팅 서비스처럼 네트워크 데이터를 많이 주고받는 서버가 쓸 일이다. 전문용어로 말하면 HTTP/1.1 서버와 데이터를 비동기 전송하는데 쓴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6 ClipBook
잘라내기나 붙여넣기 할 때 쓴다. 이것을 다른 PC와 공유할 때도 이용한다. 하지만 다른 PC를 쓰는 이가 클립북에 저장된 정보를 언제든 열어볼 수 있기 때문에 보안상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 COM+ Event System
COM(Component Object Model) 구성 요소에 가입한 SENS(Supports System Event Notification Service)는 이벤트 자동 분산을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멈추면 중지되었다는 'DCOM' 오류를 보낸다.
수동으로 설정하면 많은 서비스들이 이 서비스에 보고를 시작한다. 쓰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이니 사용안함으로 돌려놓자.
혹시나 System Event Notification 서비스를 쓰거나 Optimize System 옵션으로 BootVis를 돌릴 때는 필요하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8 COM+ System Application
com+ 기반 구성요소를 설정하거나 추적을 하는 일을 한다. 시스템에서 일어난 사건을 보고하는 System Event Notification 서비스를 쓰지 않는다면 사용안함으로 돌리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N style="FONT-SIZE: 11pt">9 Computer Browser

혼자쓰는 PC는 쓸데없는 서비스다.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PC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관리한다. 또 이 목록을 다른 PC에 건내주기도 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10 Cryptographic Services
윈도우즈 파일이 서명되었나 확인하는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다. 신뢰하는 루트 인증기관의 인증서를 내 PC에 저장하거나 없애는 보호된 루트 서비스다. 인증서를 얻는 키 서비스와 같은 관리서비스 일을 한다. 이 서비스를 멈추면 모든 윈도우즈 프로그램을 깔 때 인증되지 않은
드라이버라는 메시지가 뜰 뿐 다른 말썽을 부리지 않는다. 단지 메시지 뿐이다. 하지만 수동으로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할 때나 마이크로소프트가 직접 배포하는 프로그램을 깔 때는 띄워 놓아야 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11 DHCP Client
IP 보안 정책을 관리하고 ISAKMP/Oakley (IKE)와 IP 보안 드라이버를 띄우는 서비스를 쓰거나 인터넷 연결공유,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쓸 때 필요하다. 초고속 인터넷인 케이블 모뎀이나 ADSL, VDSL 서비스를 쓴다면 초기값인 자동을 그대로 두고, 인터넷을 쓰지 않거나 고정 IP를 쓰는 PC라면 사용안함을 선택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자동

12 Distributed Link Tracking Client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여러 PC에서 NTFS 파일을 주고받는 일을 담당한다. ntfs 5.0으로 포맷된 공유 드라이브를 쓰는 윈도우즈 2000과 XP 네트워킹에서는 쓸만한 서비스다. 공유 드라이브에 담긴 파일이 잘 있는지 바로가기 링크나 파일 정보를 항상 새로 고쳐 최신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네트워크를 쓰지 않는 나홀로 PC라면 쓰지 않아도 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나홀로 PC는 사용안함을 고른다.

13 Distributed Transaction Coordinator
데이터베이스와 메시지 대기열과 파일 시스템 따위와 같은 여러 리소스 관리자를 다스린다.
Message Queuing 서비스를 쓸 때는 이 서비스가 필요하다. 쓰지 않는다면 필요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14 DNS Client
내 PC가 속해 있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의 이름을 알아두어 캐시에 보관한다. 이 서비스를 멈춰도 인터넷 DNS를 알아채는데 전혀 문제 없으니 사용안함으로 돌려도 된다. 하지만 IPSEC 서비스를 쓸 때는 자동으로 해 둬야 한다. 이것은 특별한 경우이고 대부분
TCP/IP를 쓰는 PC에서는 필요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15 Error Reporting Service
말썽 부리는 서비스와 응용프로그램 오류가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낱낱이 적어서 마이크로소프트에 보고한다. 이 서비스는 MS에 보고만 할 뿐 PC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초기값 자동을 사용안함으로 돌리자.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16 Event Log
이벤트 뷰어에 있는 구성요소와 윈도우즈에서 돌아가는 응용소프트웨어가 만든 사건기록 메시지를 기록해 두는 서비스다. 응용프로그램의 문제점이나 보안을 알아볼 때 쓸만하고 멈출 수 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자동

17 Fast User Switching Compatibility
PC를 여러 사람이 쓰는 곳에서 이용자와 응용프로그램을 따로 관리한다. 윈도우즈가 기본으로 지닌 ‘사용자 계정’을 맡고 있다. 나홀로 PC에서는 필요없는 서비스이니까 사용안함으로 돌리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18 Fax Service
내 PC나 네트워크에서 쓸 수 있는 팩스 자원을 써서 팩스를 보내고 받는 일을 한다. 이 서비스는 팩스 모뎀을 내 PC에 달아놓았을 때나 쓸 수 있다. PC에 팩스 모뎀을 달아 쓰는 이는 적으니까 사용안함으로 설정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19 FTP Publishing Service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스냅인을 써서 FTP 연결이나 관리하는 일을 한다. 기본으로는 IIS와 관련한 파일이 깔려 있지 않고 dnls 윈도우즈 설치CD에 담겨 있다. 서브U ftp서버와 같은 FTP서버 프로그램을 써서 이용하는 것이 효율 좋으니까 사용안함으로 돌리는 것이 좋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20 Help and Support
‘도움말 및 지원센터’를 수행한다. 이 서비스를 쓰지 않아도 이용자가 도움말 및 지원센터를 띄우면 알아서 ‘자동’으로 값이 바뀐다.
따라서 이 서비스를 쓰기 전까지 리소스를 아껴두자. 혹시나 도움말이 전혀 필요치 않거나 쓰지 않는다면 사용안함으로 설정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수동

21 Human Interface Device Access
키보드와 원격제어, 갖가지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미리 설정해 둔 버튼을 쓰게 한다. 하지만 이런 재주를 이용하는 주변장치는 거의 없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자동

22 IIS Admin
로컬 웹서버나 FTP 서버를 관리하는 서비스다. 기본으로 깔려 있지 않지만 윈도우즈XP 설치CD를 이용해 깔 수 있다. PC에서 서버 프로그램을 돌리는 일은 드무니까 사용안함으로 설정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23 IMAPI CD-Burning COM Service
윈도우즈XP는 기본으로 CD를 굽는 재주를 부린다. 네로 버닝롬과 같은 리코딩 소프트웨어를 따로 쓴다면 전혀 쓸모없는 서비스다. 사용안함으로 설정해 두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24 Indexing Service
내 PC나 이용당하는 원격 PC에 담기 파일의 내용이나 속성을 목록으로 만들고 쿼리 언어로 파일을 빠르게 읽게 한다. 윈도우즈 2000과 XP에서 가장 많은 자원을 차지하는 뚱뚱한 서비스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style="FONT-SIZE: 11pt">25 Internet Connection Firewall and Internet Connection Sharing
네트워크 주소를 바꾸거나 주소를 정해준다. 또 이름을 확인하거나 소규모 네트어크 침입을 막는 서비스다. 보통 모뎀을 쓰는 PC가 이용하는 서비스다. 인터넷 공유나 방화벽 서비스를 쓴다면 자동으로 놓고 그렇지 않는다면 사용안함을 선택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26 IPSEC Services
IP 보안 정책을 관리하고 IKE와 IP 보안 드라이버를 시작한다. IPSEC를 쓰는 인터넷이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설정된다. 두루넷이나 하나로통신과 같은 ISP는 이러한 기술을 쓰지 않기 때문에 필요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27 Logical Disk Manager
새로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알아채고 감시한다. 디스크 볼륨 정보를 로컬 디스크 관리 서비스에 건내준다. 이 서비스는 동적으로 볼륨을 관리하는 디스크 관리를 구동할 때 필요하다. 따라서 하드디스크를 떼었다 붙였다 하지 않는다고 해도 웬만해선 ‘자동’으로 놓고 쓰는 것이 좋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자동

28 Logical Disk Manager Administrative Service
하드디스크와 볼륨을 구성한다. 디스크 관리 창이 뜰 때만 쓰는 서비스이니까 수동으로 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관련 서비스는 초기값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수동

29 Message Queuing
보통 이용자에겐 전혀 쓸모없는 서비스다. 다른 시간에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들이 잠깐 오프라인이 되기도 하는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거쳐 통신하게 만드는 서비스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30 Message Queuing Triggers
대기열에 메시지가 닿는 것을 com 구성요소나 나홀로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재주와 연결하는 서비스다. 기본으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윈도우즈XP 설치CD에 담겨 있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31 Messenger
PC끼리 경고 메시지를 주고받는 일을 맡는다. 가끔 성인정보를 파는 사람이 이 서비스로 많은 사람에게 스팸 메시지를 보내는 등 악용되기도 한다. 보통 사람에겐 필요없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msn 메신저와 상관없으니 사용안함으로 돌려도 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32 MS Software Shadow Copy Provider
마이크로소프트 백업 유틸리티를 쓸 때 필요한 서비스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복사하는 일을 한다. 이 서비스를 멈추면 중지되었다는 메시지가 이벤트 로그에 기록될 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33 Net Logon
도메인 서버에 로그인할 때 쓴다. 도메인 네트워크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한테는 쓸모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PAN>

34 NetMeeting Remote Desktop Sharing
인증받은 이용자가 넷미팅을 써서 원격으로 PC에 접근하게 한다. 이 서비스는 나도모르는 사이에 내 PC에 도둑이 들게 하는 문짝을 단 것과 같다. 당연히 이 서비스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35 Network Connections
네트워크나 전화접속 연결 폴더에 있는 개체(두루넷, 하나로통신 바로가기 아이콘)를 관리한다. LAN이나 원격 연결을 모두 보게 한다. 이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관리할 때 필요하다. 인터넷을 쓰지 않는 PC라면 필요없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자동

36 Network DDE
내 PC 안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나 다른 PC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들이 동적 데이터 교환(Dynamic Data Exchange: DDE) 기술을 부릴 때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주고받게 한다.
DDE 네트웍 접속은 오래된 소프트웨어를 빼고는 거의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안함으로 돌리는 게 좋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37 Network DDE DSDM
DDE 네트웍 공유를 관리한다. 36번 네트웍 DDE와 마찬가지로 전혀 쓸 일 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38 NLA(Network Location Awareness)
네트워크 구성과 위치 정보를 모으고 저장한다. 이 정보가 바뀌면 응용프로그램한테 일러바치는 일을 한다. 인터넷 연결 공유 서비스를 하는 서버가 되는 PC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된다. 그렇지 않은 PC는 사용안함을 골라놓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39 NT LM Security Support Provider
메시지 대기열이나 텔넷 서버를 돌리지 않을 때는 거의 쓰지 않는 서비스다. 명령어 통로를 거치지 않는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프로그램을 안전하게 지키는 일을 한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40 Performance Logs and Alerts
때마다 성능 데이터를 모으고 이 정보를 기록해 두거나 경고를 띄울 때 쓴다. 미리 설정해 둔 예약 매개 변수를 써서 로컬이나 원격 PC에서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을 한다. 제어판 → 관리도구의 성능 모니터에서 PC를 감시하게 했놓았다면 ‘자동’으로 설정한다.
수동으로 설정해 두면 어떠한 성능 기록이나 경고도 기록하지 않는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수동

41 Plug and Play
윈도우즈가 새로운 하드웨어를 알아채는 일을 한다. 이용자가 따로 건드리지 않아서 윈도우즈가 하드웨어 변경 내용을 알아채고 드라이버를 스스로 깔게 한다. 이 서비스를 멈추면 장치 관리자에서 장치 목록이 뜨지 않는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자동

42 Portable Media Serial Number
PC와 연결한 휴대용 음악 재생기의 등록정보를 알아채는 일을 한다. 실제로 이런 일을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도 휴대용 음악 재생기를 연결해 쓰는데 문제가 없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43 Print Spooler
나중에 인쇄하려고 인쇄파일을 메모리에 올려둔다. 이 서비스는 프린터를 쓰는 이에게 필요하다. 프린터를 쓰지 않는다면 사용안함으로 설정해 둔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44 Protected Storage

개인 키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된 저장소에 보관하고 권한 없는 서비스나 다른 이용자가 접근하지 못하게 막는다. 로컬 암호나 웹사이트의 자동완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데도 쓴다. 이 서비스는 ‘자동’으로 기본 설정되어 있다. 이 서비스를 꺼서 이런 정보를 저장해 두지 않는다면 보안을 튼튼히 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하나 암호를 써 넣는 것이 귀찮다면 서비스를 켜두어도 괜찮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45 QoS RSVP
QoS RSVP(Quality of Service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는 QoS를 알아채는 일꾼이
활성화 되었을 때 이들에게 필요한 네트웍 대역폭을 주려고 여유 대역폭을 찜해 놓는데 쓴다. 기본으로 20% 대역폭을 예약해 놓는다. 이 서비스를 쓰지 않는다면 쓰지 않던 20% 대역폭도 활용할 수 있다. 인터넷 속도가 빨라진다는 얘기다.QoS 패킷 드라이버는 TCP/IP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때 기본으로 메모리에 뜬다. 이것을 쓰는 응용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설정해 둔다. 하지만 보통 PC는 이런 QoS를 쓰는 일이 드무니까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도 된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46 Remote Access Auto Connection Manager
응용프로그램이 원격 DNS나 NetBIOS 이름이나 주소를 엿볼 때마다 원격 네트워크 연결을 하게 한다. 프로그램이 원격 주소를 요청할 때 자동으로 네트웍에 접속시켜주는 일을 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는 모뎀 전화접속을 할 때 필요하다. 모뎀을 쓰지 않는다면 필요 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47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인터넷 연결 공유를 쓸 때 필요하다. 이 서비스는 인터넷 연결 공유를 할 때 필요한 연결 관리자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48 Remote Desktop Help Session Manager
‘원격 지원 기능’을 관리한다. 이 기술을 쓰지 않는다면 사용안함으로 돌려놓자. 이 서비스를 중지해도 원격 서비스를 쓰는데 전혀 문제 없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49 Remote Procedure Call (RPC)
종점 매퍼나 갖가지 RPC 서비스를 맡고 있다. 대부분 다른 서비스를 돌리는데 꼭 필요한 서비스다. 멈출 수 없는 유일한 서비스이기도 한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자동

50 Remote Procedure Call (RPC) Locator
PRC 이름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보통 PC는 이 서비스를 쓸 필요 없으니까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도 된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51 Remote Registry Service
원격 이용자가 내 PC에서 레지스트리 설정을 바꾸게 한다. 이 값을 자동으로 설정해 두면 원격 이용자가 지정된 레지스트리 경로 항목을 바꿀 수 있어 위험하다. 보안상 위험한 서비스이니 사용안함으로 돌리자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52 Removable Storage
이동식 드라이브를 관리하는 서비스다. CD나 DVD 드라이브가 아닌 테잎 백업 장치를 말한다. 디지털카메라를 써서 USB 메모리 카드를 쓴다면 수동 값 그대로 둔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53 RIP Listener
RIPv1(Routing Information Protocol version 1)을 쓰는 라우터가 보낸 라우트 업데이트를 알아챈다. 다중 라우터를 갖는 네트웍에서 RIP 메시지를 감지하고 다른 라우터를 알아채는 일을 한다. IP 라우팅 테이블에 라우터를 추가하는 서비스다.
기본으로 깔려 있지 않지만 윈도우즈XP 설치CD로 깔 수 있다. 보통 이용자는 이 서비스를 쓸 일이 없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54 Routing and Remote Access
근거리 네트웍(LAN)이나 원거리 네트웍(WAN) 환경에 있는 사무실에서 라우팅 서비스를 쓸 때 필요한 서비스다. 보안을 위해 사용안함으로 해 놓자. 라우팅해야 하는 갖가지 네트웍을 쓸 때는 ‘자동’으로 놓는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55 Secondary Logon
다른 자격 증명으로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한다. 윈도우즈XP의 RunAs 서비스와 같다. 이 서비스를 써서 응용프로그램을 다른 이용자 권한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내 PC에 로그인한 사람에게 특정 프로그램의 수행 권한을 줄 때 쓸만하다.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할 때가 그렇다. 하짐나 이 서비스도 보안허점이 많으니까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56 Security Accounts Manager
이용자 계정의 보안 정보를 저장한다. Protected Storage 서비스처럼 로컬 이용자의 보안 정보를 저장하는 일을 한다. 이 서비스는 IIS Admin 서비스를 쓸 때 필요하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57 Server
내 PC에 담긴 파일이나 인쇄 명령을 내리는 명령어 통로를 다른 PC도 네트워크에서 쓸 수 있게 한다.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는데 쓴다. 보안상 이 서비스를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58 Shell Hardware Detection
윈도우 탐색기가 드라이브나 메모리 카드와 같은 장치를 알아채게 한다. 메모리 카드를 쓰지 않는 이라면 사용안함으로 돌려도 된다. 이 서비스를 멈추면 드라이브에 내맘대로 아이콘이나 이름을 지을 수 없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59 Simple Mail Transport Protocol (SMTP)
네트워크에서 e-메일을 보낼 때 쓴다. 내 PC를 e-메일 서버로 돌릴 때 쓰는 서비스다. 보통은 두루넷이나 하나로통신과 같은 ISP업체가 주는 e-메일 계정을 쓰거나 한메일이나 한미르와 같은 웹메일을 쓰니까 필요없는 서비스 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60 Simple TCP/IP Services
몇몇 오래된 유닉스 네트웍 서비스를 돌리는 일을 한다. 기본으로 깔려 있지 않은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61 Smart Card
윈도우즈가 스마트 카드를 읽게 한다. 내 PC나 네트웍에 연결된 PC가 인증을 할 때 필요한 스마트 카드를 쓸 때 필요하다. 보통은 스마트 카드를 쓰지 않으니까 ‘사용안함’으로 돌리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62 Smart Card Helper
플러그앤플레이를 부리지 않는 구형 스마트 카드를 쓰게 한다. 스마트 카드를 쓰지 않는 사람한테 필요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63 SNMP Service
네트워크 장치가 돌아가는 것을 감시하고 네트워크 콘솔 워크스테이션에 보고하는 일꾼(agent)를 포함하는 서비스다. 기본으로 깔려 있지 않은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64 SNMP Trap Service
로컬이나 원격 SNMP 일꾼이 만든 트랩 메시지를 받아서 내 PC에서 돌아가는 SNMP 관리 프로그램한테 건내준다. 기본으로 깔려 있지 않은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65 SSDP Discovery Service
홈 네트워크에 유니버셜 플러그 앤 플레이 장치를 알아채게 한다. 네트웍에 연결된 PC에서 PNP장치가 아닌 것을 찾아내는 일을 한다.
유니버설 플러그 앤 플레이는 TCP/IP 네트웍으로 스캐너나 프린터 장치에 접속하는데 쓰는 것이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66 System Event Notification
COM+ Event System 서비스와 함께 돌아간다. 이 서비스는 로그온이나 종료와 같은 시스템 사건이 벌어진 것을 기록한다. 보통은 이러한 사건 기록이 쓸모가 없다. 이벤트 로그가 중지되었다는 메시지만 뜰 뿐 다른 문제는 생기지 않으니 사용안함으로 돌려놓자.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67 System Restore Service
시스템 복구 지점을 만들고 필요한 경우 해당 지점으로 복구한다. 이 서비스도 많은 자원을 차지한다. 윈도우즈가 맛이 가면 이 서비스를 써서 복구를 하지 않고 새로 까는 것이 낫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68 Task Scheduler
이용자가 PC에서 하는 작업을 자동화하고 이것을 예약하게 한다. 이 서비스는 유지나 관리, 백업, 자동업데이트와 같은 작업을 예약해 두는 데 쓴다. 이런 일을 윈도우즈가 똑바로 하지 못하니까 이용자가 손수 해주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서비스는 굳이 자동으로 놓고 쓸 일이 없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69 TCP/IP NetBIOS Helper Service
TCP/IP에서 NetBIOS 서비스나 NetBIOS 이름확인 지원을 쓰게 한다. NetBIOS를 쓰지 않는다면 사용안함으로 돌려놓자.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70 TCP/IP Printer Server
TCP/IP에서 line printer 프로토콜을 쓰는 인쇄 작업을 한다. 이것은 유닉스 프린트 서버를 설정하는데 쓰는 것이다. 유닉스와 관련 없는 PC는 사용안함으로 설정해 두자.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71 Telephony
내 PC나 네트웍에 연결된 서버 컴퓨터에서 전화 통신 장치나 IP 기반 음성 연결을 하는 프로그램에게 TAPI(telephony API)를 한다. 전화 모뎀을 쓰지 않는 PC는 쓸모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2 Telnet
원격 이용자가 내 PC에 로그인해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게 하는 서비스다. 보안상 이유 때문이라도 쓰지 않는 서비스다. 사용안함으로 돌려놓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3 Terminal Services
다른 PC의 바탕화면이나 소프트웨어와 연결하고 여러 이용자가 한 PC에 대화형으로 연결하게 한다. 보안상 이유 때문이라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4 Themes
윈도우즈XP 테마나 바탕화면 색깔을 표시하는 서비스다. 윈도우즈 테마는 속도를 갉아먹는 주범이니 이 서비스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서비스를 멈추면 바탕화면 테마를 쓸 수 없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75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내 PC와 연결한 무정전 전원 장치(UPS)를 관리한다. UPS를 달아 쓰지 않는 사람에게는 필요없는 서비스다. UPS를 쓰는 이는 초기값 그대로 둔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6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Host
UPnP는 네트웍으로 다른 PC와 연결한 스캐너나 프린터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다. 네트웍으로 다른 장치를 쓰지 않는 PC는 필요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7 Upload Manager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파일을 동기나 비동기 전송할 때 필요한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8 Volume Shadow Copy
백업이나 다른 목적에 쓰는 볼륨 새도 복사 파일을 관리한다. 이 서비스를 중지해도 이벤트 로그에 알림 메시지만 뜰 뿐 다른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79 WebClient
윈도우즈에서 돌아가는 소프트웨어가 인터넷으로 연결한 웹페이지 파일을 고치거나 읽게 한다. 이 서비스는 아직까지 활용되고 있지 않은 필요없는 것이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80 Windows Audio
윈도우즈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 지닌 오디오 장치를 관리한다. 음악을 들을 때 필요한 서비스이지만 사운드카드가 없다면 중지해도 된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자동

81 Windows Image Acquisition (WIA)
윈도우즈가 스캐너나 카메라를 알아채게 한다. 이 서비스는 몇몇 스캐너나 카메라를 알아차릴 뿐이니까, 서비스를 중지하고 스캐너나 카메라를 쓰지 못한다면 원래 값으로 돌린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82 Windows Installer
확장자 MSI 파일에 적혀 있는 가르침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복구, 제거한다. 이 서비스를 멈추면 .msi 파일을 깔지 못하게 된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수동

83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서비스 설정 화면에 보이는 버튼을 나타내거나 버튼이 가리키는 설정 창으로 옮기는 일을 한다. 전문용어로 하면 정보에 접근하는 공용 인터페이스나 개체 모델을 제공한다. ‘자동’값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자동

84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Driver Extension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서비스와 관련한 드라이버 정보를 건내주는 일을 한다. 수동 값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수동

85 Windows Time
네트웍에서 모든 클라이언트나 서버 컴퓨터의 날짜와 시간을 맞추는 일을 한다. 내 PC에서는 인터넷 시간서버를 이용해서 시계를 정확하게 맞추는 일을 한다. 7일마다 시간을 맞추는데 그 7일동안 자원을 낭비하는 셈이다. 일단은 사용안함으로 돌려놓고 시간이 맞지 않을 때마다 시간을 맞추는 전문 유틸리티를 따로 쓰는 것이 낫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86 Wireless Zero Configuration
윈도우즈가 무선 네트웍 장치를 알아채게 한다. 무선LAN을 쓰지 않는다면 쓸모없는 서비스다.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87 WMI Performance Adapter
WMI HiPerf 공급자에게 성능 라이브러리 정보를 건내준다. 거의 쓰지 않는 서비스이니 사용안함으로 돌려놓자.
초기값: 수동 → 권장값: 사용안함

88 Workstation
내 PC가 다른 PC에 접속할 때 필요한 서비스다. 클라이언트 PC의 원격 서버 연결을 만들고 관리한다. 인터넷 접속이나 파일 공유, 프린터 공유 일을 하는 것이다. 기본값 자동을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자동

89 World Wide Web Publishing Service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스냅인을 써서 웹 연결이나 관리를 한다. 내 PC에서 웹서버를 돌릴 때 쓰는 서비스인 것이다. 기본으로 깔려 있지 않다.
초기값: 자동 → 권장값: 사용안함


+++++++++++++++++++++++++++++++++++++++++++++++++++++++++++++++++++++++++++++++++++++++++++++++++++++++++

컴퓨터를 오류없이 잘 쓰는 방법
컴퓨터 사용시에 꼭 알아야할 사용법


첫째. 모르는 파일은 함부로 지우지 않는다.
윈도에선 삭제시 완전히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임시로 휴지통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물론 shift 키와 함께쓰면 휴지통에 가지 않고 곧바로 삭제가 됩니다만, 잘 모르는 파일이 있을때 무턱대고 삭제하면 언젠가 문제가 발생합니다. 의심이 가면 백신이나 기타등등으로 검사해보시고 바이러스가 아니다 싶으면 그냥 두세요. 휴지통은 일부러 비우지 않는 것이 좋아요. 잘못해서 삭제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휴지통 크기는 별로 크지 않습니다. 그리고, 휴지통이 다 차면 알아서 오래된 파일부터 없애주므로 따로 비울 필요가 없습니다.


둘째. 하드디스크의 10-20 % 정도는 항상 남겨둔다.
하드 공간이 다 차게 되면 컴퓨터의 속도가 느려지고 필요시 가상메모리도 확장할 수 없게 됩니다. 최소한 하드디스크의 10% 이상은 남겨둬야 합니다.


셋째.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을 하자.
아무리 조심한다구 해도 바이러스는 언제 어디서 들어올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항상 감시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최신백신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v3 의 경우 1주 단위로 업데이트가 되니 적어도 한달에 한번은 업데이트 해주셔야 합니다.


넷째. 디스크 검사/조각모음 활용.
사용상 아무런 문제가 없더라도 디스크 검사는 한달에 한번 정도. 그리고 조각모음은 두세달에 한번 정도는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디스크가 대형화되면서 조각모음 실행시 몇시간을 넘기는것은 기본입니다. 잠들기 전에 조각모음 실행시켜 두시면 아침에 끝날 겁니다.


다섯째. 설치/삭제는 제어판에서.
설치와 삭제는 제어판에서 실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설치의 경우는 궂이 제어판에서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만. 삭제는 가능한한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 메뉴를 이용해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는 프로그램의 설치 시 설치정보를 레지스트리에 기록해 둡니다. 그리고 삭제시 설치정보를 참고해서 삭제를 해주기 때문에 찌꺼기 없이 깨끗이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uninstall 메뉴가 있다면 그걸 사용하셔도 됩니다.


여섯째. 같은 종류의 플그램은 하나만 사용하자.
간혹 보면 같은 종류의 플그램을 여러개 설치해두고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물론 제작자에 따라 메뉴나 환경등이 다르긴 하겠지만 자신이 사용하는 전용 플그램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압축프로그램 같은 경우도 알집, winzip, 밤톨이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것 하나만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일곱번째. 드라이버와 업데이트는 항상 최적화 된 버젼으로 유지.
자신의 하드웨어의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패치 등은 항상 최신버젼이 아닌 최적화 된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드웨어의 제작사 홈피들을 즐겨찾기에 드라이버라는 그룹으로 만들어 놓고, 수시로 확인하실 필요는 없지만 어디선가 업데이트가 됐다더라 라는 얘기를 들으면 꼭 확인하시고 업데이트 해주시길 바랍니다.


여덟째. 설치전 도움말과 가이드를 반드시 참고.
어떤 플그램이든 설치파일 이외에 설치가이드나 도움말, Readme 등의 파일을 갖추고 있습니다. 설치전에 항상 확인하시고, 유의점과 지원정보 등을 꼭 확인하셔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아홉째. 다른 사람의 팁을 무작정 따라하진 말자.
팁이라고 해서 무조건 다 좋은건 아닙니다. 자신에게 필요없는 팁은 적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팁이란건 대개 프로그램의 환경을 조작하거나 레지스트리 등을 수정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런 작업들은 위험하니 자신에게 필요없는 것은 시도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열번째. 작업파일은 한곳에 모아두자.
문서화일은 문서화일대로. 그림은 그림대로. 동영상은 동영상대로. 그렇게 비슷한 종류의 파일들은 한곳에 모아두는 것이 백업과 복구시 편합니다. 하나의 하드에 따로 파티션을 두어 모아두는 것도 좋지만 남는 하드가 있으면 반드시 물리적으로 다른 하드에 저장해 두셔야 최악의 경우에도 복구를 할 수 있습니다. 중고컴퓨터에서 쓰던 540 M 의 하드를 백업용으로 사용해도 좋다.


열한번째. 안정성이 확인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자.
어느 플그램이 좋다는 말을 듣고 그냥 다운받아 사용할 것이 아니라. 가능하면 겜방이라도 가서 한번 설치해보고 이상이 없으면 설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놀고있는 구형 pc 가 있다면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열두번째. 업그레이드는 목적에 맞게.
컴퓨터 사양도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합니다. 지원되지 않는 하나의 프로그램 때문에 하드웨어를 바꾸는 것보다는 자신의 하드웨어에서 지원되는 비슷한 프로그램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목적에 따라 업그레이드시 고려해야할 비용이 틀려집니다. 그저 최신의 사양만을 고집할 게 아니라 자기컴의 사양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컴퓨터 사용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걸로 100%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정도만 주의하셔도 컴퓨터 오류는 많이 줄어들 겁니다. 특히 프로그램 설치전 설치가이드 참고하는 것은 대개 영문으로 되어있고 많은 분들이 다른 사람들의 얘기만 듣고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한번쯤 읽어보려고 노력해보세요. 한번 읽으면 대부분의 매뉴얼의 내용이 비슷하기때문에 다음에 읽을땐 훨씬 눈에 잘 들어올거예요.


Posted by 개구리발톱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533)
★☆이벤트정보☆★ (82)
☆ 뉴스&이슈 ☆ (389)
☆ 지식/노하우 ☆ (750)
☆ 영상 ☆ (140)
☆ 주절주절 ☆ (143)
☆ 『 보관 』☆ (20)

최근에 올라온 글

믹시추적버튼-이 블로그의 인기글을 실시간 추적중입니다.